|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8’에 따르면 노인 부모 부양을 가족이 해야 한다는 응답은 26.7%로 2008년(40.7%)에 비해 14%포인트 낮아졌다.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11.9%에서 19.4%로 7.5%포인트 높아졌다. 가족과 정부·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한다는 답변은 48.3%에 달했다.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은 “노년기 삶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다”며 “특히 노인과 자녀세대에서 모두 자녀동거 규범도 약화돼 공적인 제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특히 상속의 경우 인구 고령화와 의료서비스 확대로 부양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인식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상속 방법에 대한 태도를 보면 자신이나 배우자를 위해 써야 한다는 비중은 2008년 9.2%에서 2017년 17.3%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자녀 균등배분’을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더 많아졌다. 2008년 51.1%였던 균등배분 의견은 2017년 59.5%로 증가했다. 반면 장남에게 더 많이 줘야 한다는 의견은 15.9%에서 9.0%로 감소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주요 지출항목별 노인부양 비용 분담을 보면 생활비의 43.6%와 의료비의 53.1%를 본인 또는 배우자가 전액 부담했다. 자녀가 전액 부담하는 경우는 생활비 13.6%, 의료비 9.7%였다. 사회복지기관의 부담률은 생활비 13.6%, 의료비 8.8%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노년기 거주형태를 보면 2008년 19.7%였던 노인독거가구는 2017년 23.6%로 3.9%포인트 늘었다. 반면 자녀동거가구는 27.6%에서 23.7%로 3.9%포인트 감소했다. 노인부부가구는 47.1%에서 48.4%로 40%대 후반을 유지했다.
거동이 불편해졌을 때 희망하는 거주형태는 ‘재가서비스를 받으면서 현재 집에 계속 머물고 싶다’는 응답이 57.6%로 ‘노인요양시설 입소를 희망한다’(31.9%)보다 컸다. ‘배우자 자녀 또는 형제자매와 함께 거주’라는 응답은 10.3%에 불과했다.
장례 방법으로는 화장을 선택하겠다는 비중이 2008년 45.6%에서 2017년 71.5%로 크게 늘었다. 반면 매장은 32.3%에서 17.5%로 줄었다.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22.1%에서 8.9%로 줄었다. 수명이 늘어나면서 장례 방법에 대한 판단을 미루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시신기증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2011년 1.0%에서 2017년 2.0%로 소폭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