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는 이 두 인사가 빠졌다 하더라도 이들이 추구하는 진보와 구 통진당 세력을 확연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막연하다는 데 있다. 이런 상태에서 정동영 상임 고문이 이들 국민모임 세력과 힘을 합한다 하더라도 정동영 고문과 뜻을 같이하겠다고 선뜻 나서는 정치인들이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구 통진당의 지지율은 해산 이전부터 2%를 넘지 못했고 그런 상태에서 ‘북한식 사회주의 추종세력’으로 공인까지 받은 통진당의 해산 반대를 들고 나온 인사들이 참여한 국민모임에 동참하기란 정치인의 입장에선 쉽지 않은 선택이기 때문이다. 물론 상황은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다.
우선 국민모임이 확실하게 구 통진당 세력과는 완전히 다른 ‘진정한 진보’ 세력임을 인적 구성과 목적을 통해 명확히 밝히고, 또 내년 2월에 있을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당대회에서 문재인 의원의 당권 장악이 확실해 지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문재인 의원이 당권을 장악하게 되면 친노들이 총선에 있어 공천은 물론이고 대권까지 대충 다 가져갈 확률이 높기 때문에, 비노 그룹의 입장에선 무슨 수를 쓸 수밖에 없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면 아마도 대거 탈당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아질 텐데, 이 때 정동영 고문이 당 밖에서 모종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도 문제는 또 있다. 비노 그룹이 탈당과 같은 최후의 선택을 한다하더라도, 문제는 구(舊)동교동계와 같은 대부분의 비노들은 국민 모임과는 다른 색깔을 가지고 있어 이들 세력과 어울리기는 어렵다는 데 문제의 핵심이 있다.
한마디로 중도 진보 혹은 중도 보수의 색깔을 가지고 있는 새정치민주연합의 비노 그룹의 상당수가 탈당을 결행한다 해도, 국민 모임과 같은 진보적 색채가 뚜렷한 정치세력과 손을 잡기 보다는 독자 신당을 모색할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높아 보인다는 얘기다.
그래서 지금 새정치민주연합의 문희상 비대위원장이 정동영 고문 개인의 탈당에 그칠 것이라며 별다른 위기감을 보이지 않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라는 생각이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신당 창당에 성공한 경우는 대충 두 부류로 구분되어진다.
첫 번 째 경우는 지역에 기반을 둔 정당을 만드는 경우고 두 번째 경우는 대통령이 재임 중에 창당을 한 경우다. 특히 두 번째의 경우는 대통령 재임기간에는 대충 여당으로서의 명목을 유지한다. 이럴 경우를 제외하고는 창당해서 오래 버틴 정당이 거의 없다. 그래서 국민 모임과 같이 지역에 기반을 둔 정당이 아닌 이념에 기반을 둔 정당이 정동영 고문의 호남기반을 어떻게 이용할지가 성공의 관건이라고 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