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정치권의 경제민주화 움직임에 전면 반기를 들고 나섰다. 6월 임시국회에서 공정거래법 및 하도급법 등 이른바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들이 대거 처리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기업에 대한 과도한 규제를 거두는 것이 창조경제 실현 방안이라는 분석도 내놓았다.
이 부회장은 이어 “새로운 먹거리가 안 생기니 은퇴 후 너도 나도 치킨칩, 빵집을 차린다. 그러다 보니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이는 것”이라며 “많은 산업이 ‘레드오션’으로 가고 있는 상황을 직시해야 한다. 갑의 양보로 오늘 내일은 해결될 수 있지만 10년, 20년은 안 된다”고 설명했다.
이 부회장은 현 정부의 정책 기조인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 ‘나누기’보다 ‘더하기’로 생각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처럼 기업을 옥죄면 현 경제 위기를 타개하기 어렵고 일자리 창출의 길도 요원하다는 것이다.
그는 “지금 있는 일자리와 상권을 나눌 게 아니라, 새 일자리와 새 상권을 만들도록 기업을 독려하는 것이 창조경제”라며 “미국에서는 연 300조원 규모의 시장인 자동차 개조산업이 우리나라에서는 불법이다. 이처럼 정부는 네거티브를 포지티브로 바꿔 창조경제를 실현할 방법을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부회장은 지난 3월 전경련 발전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한 것과 관련 “회원사가 많다 보니 본격적인 구성이 좀 지연되고 있다”며 “지배구조, 의결구조, 소통 방식 등을 포함해 논의 중이며 조만간 개방된 조직으로 문을 열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