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안전운임제(화물차 과속과 운전자 과로를 막기 위한 최저 운임)라는 불씨가 여전히 남아있어 각자의 우려를 완전히 지우지는 못하는 모습이다.
|
이들은 이번 사태로 시멘트 출하량이 평소의 10% 수준에 불과해 누적 손실액만 1060억원을 기록했으며, 재고 급증으로 강원 및 충북 시멘트 공장은 일부 생산라인 가동까지 중단했었다.
시멘트를 공급받게 된 레미콘사들도 공장 재가동에 돌입한다. 시멘트 재고가 부족해 사실상 대부분의 공장이 생산을 중단했던 레미콘 업체들은 이날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속속 운영을 재개하는 모습이다.
다만 완전히 비어있는 재고를 보완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정상화까지는 최소 1주일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업계 추측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번 사태로 레미콘사들이 입은 피해가 약 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시멘트·레미콘 업계에서는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 철회에 대해 “파업이 끝나 정상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여전히 우려할만한 상황이 남아있다고 판단하는 모습이다.
관건은 ‘안전운임제’다. 안전운임제란 화물운송 종사자의 근로 여건 개선과 안전 확보의 목적으로 지급하는 운임이다. 그동안 시멘트 업계는 보험료와 차량 구매에 따른 이자, 주차비 등까지 지급해 왔고, 경유가 인상분도 반영해 추후 정산할 예정이라는 입장이다. 이같은 부담이 크기 때문에 올해 말 안전운임제 일몰제가 계획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뜻을 견지해 왔다.
하지만 정부와 화물연대는 5차 교섭에서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 및 안전운임 적용 품목 확대 논의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시멘트 업계 부담은 계속 이어지게 된 셈이다.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안전운임제에 불합리한 요소가 담겨있어 추가적인 논의가 있어야한다”며 “동일하게 단순연장인지, 추가적으로 변화를 주면서 개선을 하고 갈지 경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레미콘사들도 이에 따른 여파를 걱정하고 있다. 자칫 시멘트 공급가격에 이런 부분이 반영되지는 않을까 염려하는 것이다.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도 시멘트 가격에 안전운임제와 관련한 비용을 포함해 지불해 왔다”며 “이 문제가 계속되면 시멘트 업계가 부담이 가중한다는 논리로 가격을 올리게 되지 않을지 걱정된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이번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강경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한다. 중기중앙회는 입장문을 통해 “이번 화물연대 사태는 코로나와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벼랑 끝에 몰려 있는 중소기업과 국민들에게 고통만을 남겼다”며 “새 정부는 화물연대 집단운송 거부와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불법·부당행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해 달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