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DI는 주택건설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 정도지만 성장기여도 측면에서의 변동성은 높다고 분석했다. 2011~2022년 주택건설 경제성장률 기여도는 연평균 0.21%p 정도지만, 경제성장률 기여도 변동폭은 2배가 넘는 0.48%p로 추산했다.
또 금리인상으로 주택착공(면적)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향후 주택건설이 경기 회복을 제약할 가능성도 높다고 봤다. 기준금리가 급격히 오른 지난해 주택건설 핵심 선행지표인 주택착공이 전년보다 25.9% 감소, 주택건설의 부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KDI는 기준금리가 1%p 추가적으로 상승하면 주택가격 상승률이 전년동기대비 4%p 정도 하락하고, 주택착공 증가율이 7%p 정도 하락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주택착공 증가율은 기준금리가 1%p 상승 시점에 전년대비 5.1%p 하락하고 4분기 뒤에는 7.4%p까지 떨어진다고 전망했다.
이를 토대로 올해 주택건설은 5.6%(물가안정시) 또는 5.8%(고물가지속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내년에는 주택착공이 감소폭이 다소 축소됨에도 이전시기 부진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각각 8.2%(물가안정시) 또는 9.2%(고물가지속시) 감소할 것으로 봤다.
나아가 주택건설 위축에 따라 올해 경제성장률은 0.3%p 하락시키고, 내년에는 추가적으로 0.4~0.5%p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KDI가 올해 경제성장률을 1.8%를 전망했던 점을 고려하면 주택시장이 침체되지 않았다면 2%대 성장도 가능했을 것이란 얘기다.
|
정 경제전망실장은 “대출받고 부실이 생기고 이런 것은 경제에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일이고, 이런 개별 기업이 부실해질 경우 그에 맞게 구조조정이 될 필요가 있다”며 “기업들이 대규모로 부실해지고 이것이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지는 금융시스템 위험이 발생할 경우는 정책적 안정 수단이 필요하겠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경제 선순환을 위해서 구조조정은 이루어져야 된다”고 설명했다. 또 같은 맥락에서 미분양 아파트 공공 매입 필요치 않은 상황이라고 봤다.
다만 KDI는 주택공급이 수요 변화를 탄력적으로 반영토록 제반 여건을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전문위원은 “ 주택착공 이전 단계에서 AI, 디지털트윈 기술 등을 활용하여 주택 공급까지의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건설사와 정비사업 조합 간의 갈등이 빈번해지면서 공사 지연이 발생하고 있는데, 공사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