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 질환 없는 코로나19 환자에게 필요한 위험 인자 찾아

강민구 기자I 2022.09.29 13:00:00

KAIST 등 코로나19 위험 인자 연구
중증환자에게서 ''클론성조혈증'' 나타나 관리 필요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공동연구로 기저 질환이 없는 저위험군의 신규 코로나19 중증 위험 인자를 찾고, 발굴된 인자의 지나친 염증반응에 대한 분자 원리를 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인경 교수를 비롯해 강창경·고영일 서울대병원 교수, 송경호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문준호 경북대병원 교수, 이지연 국립중앙의료원 이지연 교수, 지놈오피니언 연구진이 이같은 연구결과를 내놨다고 29일 밝혔다.

KAIST 공동연구팀의 모습.(좌측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이지연 국립중앙의료원 교수, 문준호 경북대병원 교수, 정인경 KAIST 교수, 강창경 서울대병원 교수, 송경호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고영일 서울대병원 교수.(사진=한국과학기술원)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병리에 관한 연구가 이뤄져 단핵구의 과잉 염증반응으로 인한 중증 진행 메커니즘 등이 밝혀졌다. 하지만 개별 코로나19 환자마다 면역 반응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현상은 설명하지 못했다.

가령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서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의 기저 질환이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들이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될 새로운 위험 인자를 찾는 부분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저 질환이 없는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요인을 알아내기 위해, 국내 4개의 병원이 총 243명의 코로나19 환자의 임상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임상적 특징과 중증 코로나19 내 과잉 염증반응 사이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등을 분석한 결과, 기저 질환이 없는 집단 내 중증 환자는 ‘클론성조혈증’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혈액이나 면역 세포를 만드는 골수 줄기세포 중 후천적 유전자 변이가 있는 집단을 뜻한다.

클론성조혈증을 가진 중증 환자는 단핵구에서 특이한 과잉 염증반응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변화한 후성유전학적 특징이 단핵구 특이적인 과잉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기저질환이 없는 저위험군 환자라도 클론성조혈증을 갖는 경우 코로나19 감염 시 보다 체계적인 치료나 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송경호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임상 현장에서 코로나 환자별 맞춤 치료 전략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 연구”라며 “앞으로도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임상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 치료전략 연구를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헤마톨로지카(haematologica)’에 지난 달 1일자와 지난 15일자로 게재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