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코스는 지난 7월 FDA로부터 MRTP 인가를 취득했다. FDA는 아이코스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일반 담배보다 현저하게 적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아이코스가 공중보건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필립모리스는 미국 내에서 아이코스 마케팅에 △아이코스 시스템은 담배를 태우지 않고 가열함 △담배를 태우지 않고 가열함으로써 유해물질 및 잠재적 유해물질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함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일반담배에서 아이코스 시스템으로 완전히 전환한 흡연자에게 유해물질 및 잠재적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이 감소함 등의 문구를 활용할 수 있다.
백 대표는 “FDA의 이번 결정은 전세계 소비자들에게 과학에 기반한 정확한 정보를 알리고, ‘담배연기 없는 미래’라는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의 비전을 보다 더 빨리 실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FDA의 결정은 공중보건을 향상 시키기 위해 각 국 정부와 공중보건 담당 기관들이 비연소 제품과 일반담배를 어떻게 다르게 규제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고 덧붙였다.
백 대표는 그러면서 식약처 등 국내 규제 당국을 향해 겨냥해 “대화와 토론을 통한 규제, 과학에 기반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하는 이유는 규제 철폐나 무조건 규제의 문턱을 낮추기 위함이 아니다”며 “제품의 위해 정도에 따른 합리적인 규제, 차별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부 통계 및 판매 데이터를 참고해 추산해 보면 국내에는 일반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가 약 800만명 이상 존재한다. 이들이 아이코스와 같은 더 나은 대체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과학에 기반한 정확한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는 것이 한국필립모리스 측 주장이다.
백 대표는 “성인 흡연자들에게 정확한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관련 법령이 더 나은 대체제품으로의 전환을 장려하지 않는다면, 이들은 가장 해로운 형태인 일반담배를 계속 사용할 것“이라며 ”이는 결과적으로 성인 흡연자들의 건강과 공중보건, 나아가 사회 전체적으로 큰 손실이다”고 지적했다.
백 대표는 이날 액상형 전자담배 세금 인상 이슈와 전자담배 기기에 대한 규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차별적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기획재정부는 내년부터 액상 전자담배에 부과되는 세금을 기존 대비 2배인 일반담배 대비 86% 수준으로 올릴 계획이다.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선 전자담배 기기에 대해 할인권 제공 등 판촉행위를 금지하는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도 의결됐다.
백 대표는 “일반적으로 아이코스와 같은 궐련형 전자담배, 그리고 액상형 전자담배는 일반담배에 비해 현저히 적은 수준의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를 고려했을 때, 전자담배 기기에 대한 규제 완화를 통해 흡연자들의 전환을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