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이 1일 블로그에 게재한 ‘기업 이윤과 인플레이션:주요국과의 비교’라는 제하의 글에 따르면 소비자 물가와 유사한 흐름을 나타내는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 상승률을 국민계정 상의 피용자 보수(임금), 영업잉여, 세금 및 수입물가에 따른 기여도로 나눠 분해한 결과 작년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4.4%이고 수입물가가 4.4%포인트나 기여해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피용자 보수와 세금은 각각 0.0%포인트, 0.2%포인트 기여했다. 반면 영업잉여는 마이너스(-) 0.2%포인트로 디플레이터 상승률을 낮추는 쪽으로 작용했다.
미국의 작년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 상승률이 6.3%이고 영업잉여가 3.7%포인트 기여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대조된다. 유로 지역 역시 영업잉여가 디플레이터 상승률의 절반 가량을 차지했다.
작년 우리나라 물가 상승에 대한 영업잉여 기여도가 낮게 나타난 이유 중 하나는 전기·가스·수도업의 영업잉여 기여도가 큰 폭의 마이너스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들 업종의 영업잉여 기여도는 마이너스(-) 1.4%포인트였다. 유가·천연가스 급등에도 전기·가스 요금이 덜 오른 영향이다. 그로 인해 공기업은 큰 적자를 기록하는 부작용이 있었지만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됐다.
전기·가스·수도업을 제외한 기업들의 영업이익 기여도는 1.2%포인트로 플러스를 보였지만 이 역시 유로, 미국에 비해 여전히 상당폭 낮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는 유로, 미국에 비해 글로벌 공급망 차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을 적게 받아 기업의 가격 인상폭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장 과장은 “유로 지역은 팬데믹 시기 공급 부족이 심화되면서 기업이 가격을 상당폭 인상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우리나라는 수급불균형에 따른 가격 인상폭이 유로 지역에 비해 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은은 정책당국의 물가 안정 노력과 가계·기업이 과도한 임금 및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등 고통을 분담함으로써 물가 상승 2차 효과 확산이 제약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전기·가스 요금 인상 시기 조정 및 인상폭 축소 등으로 공공 부문 역시 물가상승 압력을 낮추는 데 상당히 도움이 됐다고 분석했다.
장 과장은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을 중심으로 작년 크게 높아졌던 수입물가가 올 들어 상당폭 하락한 점을 감안할 때 올해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피용자 보수, 기업 이윤이 큰 폭으로 늘어나지 않는 한 작년에 비해 상당폭 둔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국제유가 추이, 이상 기후에 따른 곡물가격 변동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