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글로벌전략팀 부연구위원은 최근 ‘주요국의 ESG 성과 평가 실태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17개 주요국 상장기업의 무디스, 레피니티브, 블룸버그, 서스테이널리스틱스, CDP 등 주요 평가사가 실시하는 ESG 및 영역별 점수의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한국은 ESG 평가를 받는 기업의 수나 점수 등에서 전반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ESG 점수는 17개국 중 14~17위, 개별 영역별 점수는 2~17위의 분포를 보였으며 특히 지배구조(G) 영역에서 점수가 낮았다.
전반적으로 평가가 좋은 국가는 프랑스, 영국, 독일, 덴마크, 미국 등이며, 프랑스와 영국은 7개 평가점수 모두 17개국 평균을 상회했다.
우리나라 기업은 특히 지배구조(G) 영역에서는 네 개 평가사 모두에서 평균 이하의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무디스는 -2 표준편차, 블룸버그는 -1 표준편차로 타 국가보다 상당히 낮은 점수를 기록했고, 이는 전체 ESG 점수를 낮추는 데 일조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박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나아가 기업의 재무나 산업특성을 통제한 이후 ESG 성과를 비교했을 때는 우리나라의 전 기관 ESG 점수가 17개국 중 가장 낮았다.
박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초대기업 및 금융사를 중심으로 평가했음에도 점수가 낮다”며 “전체 기업으로 확대하면 국내 기업의 ESG 위기관리 대응이 상당히 미흡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국제사회는 지난해 제26차 당사국총회(COP26)에서 국제회계기준(IFRS)재단은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설립을 공식화, 기존에 운영되는 다양한 공시기준을 통합하고 보완해 지난 3월 새로운 국제표준 초안을 발표했으며 올해 말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박 연구위원은 “더 많은 수출기업, 대기업 협력사 등이 글로벌 ESG 평가사로부터 평가받을 수 있도록 영문 공시를 지원하는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며 “정부는 2021년 발간한 국내 기업 ESG 공시 가이드라인(K-ESG)이 현재 논의되는 국제 표준과 얼마나 상응하는지 살펴보고, 적절하게 업데이트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