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지난 9월 16일 재가동 이후 한 달을 맞았지만, 개성공단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공장 문은 열었지만 바이어들의 이탈로 평균 가동률이 60% 선에 불과하다. 특히 기계·전기·전자 업종은 일감이 없어 가동을 못 하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 남북경제협력사업보험금(경협 보험금)의 상환 문제가 불거지면서 고충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지난 8월초 123개 입주업체 중 경협 보험금을 수령한 업체는 48개사로 총 1692억원이다. 입주예정 업체와 영업소를 포함하면 59개사 1761억원으로 늘어난다. 해당기업들은 15일까지 보험금을 상환하지 못하면 연 9%의 연체금을 내야 한다.
16일 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전날까지 보험금을 상환한 업체는 10개사로 총 327억원이다. 결국, 49개사가 연체상황에 접어들었고 상환해야 할 금액만도 1434억원이다.
해당 기업은 대출금 전환, 분할납부, 상환유예 등을 요청했지만, 정부 입장은 완강하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지난 14일 브리핑에서 “어려운 사정은 알고 있다”면서도 “보험금 지급 당시에 체결된 약관과 의정서에 따라서 상환해야 한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분명히 했다.
공단 잠정폐쇄 기간 동안 부족한 운영자금으로 보험금을 소진한 입주업체들은 출구가 보이지 않는 진퇴양난에 빠진 것. 특히 공단 재가동에도 바이어 수주, 제품 생산, 납품을 거쳐 결제까지는 최소 3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현 상황에서 기업들을 옥죄면 개성공단의 정상화는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A사 대표는 “경협 보험금을 떼먹겠다는 게 아니다. 지난 6개월 동안 공단이 사실상 폐쇄상태였는데 무슨 돈이 있겠냐. 사채라도 구하러 다녀야 하는지 정말 걱정이다”며 “정부가 이러한 사정을 조금이라도 알아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