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방문 중인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1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는 (현재) 몇 달 동안 단기적인 자금 부족(만)을 관리할 수 있는 상태”라며 이같이 밝혔다.
|
이는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지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수백억달러 규모 자금 조달 패키지가 승인되지 않고 있는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우크라이나 동맹국들에 신속한 추가 지원을 확보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그렇지 않으면 지난해 러시아의 침공 이후 몇 달 동안 그랬던 것처럼, 돈을 찍어내야 하는 불안정한 통화정책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중요한 건 이(자금 지원) 기간을 연장하지 않는 것이다. 자금 지원이 지연되면 이제 막 경제 전망이 개선되는 시점에 더 많은 재정 조정 압력이 가해질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에서 (우크라이나 지원 패키지에 대한) 작업이 계속될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한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가 지난달 통과시킨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동맹국들로부터 410억달러의 자금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EU 180억달러, 미국 85억달러, IMF 54억달러, 기타 개발은행 15억달러, 영국 10억달러의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가 추가적인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을지는 불분명한 상황이다. 우크라이나의 패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미국과 EU가 자금 지원을 중단하거나 축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실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직접 미국을 방문해 의원들을 상대로 로비를 펼쳤음에도 지난 13일 600억달러 규모의 우크라이나 지원안이 부결됐다. 이틀 뒤인 15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정상회의에서도 우크라이나에 4년 간 500억유로 지원 계획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한 서방 정부 관계자는 “우크라이나는 IMF가 보내주기로 한 20억달러, 세계은행(WB)의 자금 지출, 국내 은행의 차입으로 내년 1월과 2월을 버텨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FT는 “단기적으론 약간의 유연성을 갖고 있지만, 이후엔 재정 지출을 줄이거나 중앙은행의 통화 금융에 의존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는 초인플레이션의 급증과 국가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우크라이나는 동맹국의 지지를 얻기 위해 자신의 역할을 다했다. 그들은 거시경제와 금융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며 “IMF는 제 역할을 했고 우크라이나에 매우 깊이 관여했다. (이젠) 미국과 유럽 등 우크라이나의 파트너들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