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에는 해수부 내 수산물안전관리과에서 담당 업무를 맡았는데, 지난 5일부터 이를 ‘국민 안심 상황관리반’으로 확대 개편했다.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을 중심으로 수산물 안전관리, 안전소비, 수산업계 지원, 국민소통 등 주요 과업별로 7개팀이 활동해 전문가 그룹, 수산업계, 지자체 등과 함께 협력해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수산업계를 중심으로 수산물 안전에 대한 설명회도 개최한다. 13일부터 약 3주에 걸쳐 열리는 권역별 수산물 안전 현장 설명회에서 해수부는 부산, 경남, 서울, 인천, 제주 등 전국을 순회하며 수산업계의 목소리를 들을 예정이다.
수산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있는 일반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참여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 3월 일반 국민 30여명을 선정해 ‘수산물안전 국민소통단’을 꾸렸고 부산과 인천 등 수산물 안전관리 현장을 점검했다. 안전 우려가 있는 품목에 대해 직접 방사능 검사를 신청할 수 있는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도 지난 4월 24일 운영 이후 총 266건의 신청이 있는 등 진행 중이다.
해수부는 수산물 검사 장비와 인력도 보충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전국 92개소 해역에 대해 해양방사성 물질을 검사하고 있다. 또 수산물에 대한 검사는 생산자 단계에서 해수부와 지자체, 민간 합쳐 총 29개의 검사 장비를 가지고 있다. 해수부는 올해 총 9대를 추가로 확보하고, 내년에는 11대 장비를 추가로 확보하는 등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수산업계 상인들에 대한 손실보상금 지급에 대해서는 아직 이르다며 선을 그었다. 송상근 해수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민의 우려와 불식을 최대한 해소하고 수산물에 대한 소비 위축을 방지하고 최소화하겠다는 것이 주요 논의”라며 “아직 피해 등에 대해 예정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손실보상금을 논의하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해수부는 최근 오염수 관련 불안이 확대되고 있는 데 대해 정확하지 않은 정보들이 퍼지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송 차관은 ‘국민의 불신이 확산하는 근본적 이유를 뭐라고 해석하냐’는 질의에 “SNS 등을 통해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가지고 불안감을 조장하는 부분이 분명히 있다고 본다”면서 “여러 홍보 정보 등을 통해 최대한 정부가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송 차관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지속적으로 해수와 수산물에 대해 검사를 해 왔는데 단 한 건도 기준치를 넘어선다든지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면서 “지금까지는 우리 바닷물과 국내 수산물은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방류 계획에 대해서도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의 검증을 신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송 차관은 “일본 정부의 계획에 대해 우리 정부가 철저하게 검증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면서 “그런 검증을 전제로 했을 때 앞으로의 해양에서의 문제라든가 수산물에 있어서의 문제는 안심해도 된다는 게 저희들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