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늦어지는 결혼' 1인세대 사상 첫 40% 돌파…인구는 4분기 연속 감소

김경은 기자I 2021.10.06 12:04:44

주민등록 1인세대 9월말 기준 첫 40% 돌파
30대 남성, 70대 이상 여성 1인비중 최고
주민등록 인구 4분기째 감소 17.5만명 줄어
3분기 자연감소폭은 줄어...전분기比 5000여명 감소

사진=이데일리DB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주민등록 1인세대가 사상 첫 40%를 돌파, 전체 세대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주민등록 인구는 4분기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초혼 늦어지면서 2030대 1인세대 증가세

행정안전부는 6일 주민등록 1인세대가 9월말 기준 936만7439세대로 사상 처음 40%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 1인세대는 70대이상이 가장 많은 비중(18.6%) 차지했고, 이어 60대(17.7%), 50대(17.2%), 30대(16.5%), 20대(15.7%), 40대(13.9%), 10대 이하(0.4%) 순이다.

초혼이 늦어지면서 2030대 1인세대 비중이 빠른 속도로 증가, 2016년 말 2030대 비중은 29.2%에서 9월말 현재 32.2%로 3%포인트 증가한 반면 4050대 비중은 같은 기간 37.1%에서 31.1%로 6%포인트 낮아졌다.

1인세대 다음으로는 2인세대(23.8%), 4인세대이상(19.0%), 3인세대(17.1%)순이며, 특히 4인세대이상은 2016년 이래 5년 만에 6%포인트 이상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 특징이다.

성별에 따른 1인세대 최대 비중 연령대는 남자는 30대(20.4%), 여자는 70대이상(28.2%)이 가장 높았다.

시·도별 1인세대 비중은 전남(45.6%)이 가장 높았으며, 강원(43.7%), 경북(43.5%), 충북(43.0%), 충남(42.9%), 전북(42.9%), 서울(42.8%), 제주(42.1%), 대전(40.9%) 등 9곳 또한 40%를 넘는 비중을 보였다.

반면 비중이 낮은 시·도는 세종(34.5%), 울산(34.8%), 경기(36.6%), 인천(37.4%), 대구(37.6%), 경남(39.0%), 광주(39.4%), 부산(39.5%) 순으로 나타났다.

세대원의 감소로, 가구수는 증가했다. 전체 세대수는 2338만3689세대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평균 세대원수는 2.21명으로 2016년 말 2.43명에서 0.22명 감소했다.

여성 세대주는 증가하고, 남자 세대주는 감소했다. 지난해 말에 비해 여자 세대주 비중은 33.8%에서 34.3%로 늘어난 반면, 남자 세대주 비중은 66.2%에서 65.7%로 줄었다.

◇인구 4분기 연속 감소…1분기 전보다 4712명 줄어

인구는 4분기 연속 감소했다. 주민등록 인구는 5166만7688명으로, 1분기 전과 비교해 4712명(△0.01%) 줄었으며 4분기 연속 감소세다. 지난해 9월말 이후 대한민국 주민등록인구는 약 17만5000여명이 줄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는 2576만3891명(49.9%), 여자는 2590만3797명(50.1%)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13만9906명 더 많았다.

다만 3분기 출생자 수가 전분기보다 307명 증가하면서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에 따른 인구감소폭이 줄며 감소폭은 축소했다.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50대가 여전히 전체 인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인구비중을 보면 고령화 영향으로 60대 이상을 제외하면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작년 말과 비교해 연령대별 비중은 60대는 0.7%포인트, 70대이상은 0.2%포인트 증가했지만, 50대(△0.01%p), 10대(△0.1%p), 20대(△0.1%p), 40대(△0.2%p), 30대(△0.2%p), 10대미만(△0.3%p)의 비중은 감소했다.

연령대별 분포는 9월말 50대가 16.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40대(15.8%), 60대(13.7%), 30대(13.1%), 20대(13.0%), 70대이상(11.2%), 10대(9.2%), 10대미만(7.4%) 순이다.

고규창 행정안전부 차관은 “1인세대의 증가 추세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1인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이 사회, 경제, 문화 등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이에 맞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