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는 가장 성공한 사례로 꼽힌다. 머크, 화이자, 노바티스, 사노피, 바이오젠 등 내로라하는 기업들이 포진한 곳이다. 국내에서도 1990년대 후반부터 바이어클러스터 조성에 노력을 했지만, 전국에 분산되고 설립 주체도 다양해 효율성이 떨어졌다.
윤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육성을 위해 정부가 적극 나서겠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전 세계 바이오헬스 시장 규모가 2600조원에 달한다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회도 높다고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선 의료와 건강, 돌봄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부는 분산된 개인 건강 정보를 개인, 의료진 등에게 표준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인프라인 이른바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오는 6월부터 운영한다. 보건의료와 빅데이터를 연계, 결합해 연구자 등에게 제공해 더 나은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지원할 계획이다.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향후 5년 내 연 매출 1조원이 넘는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 이상을 창출하기로 했다. 또 의료기기 수출을 2배 늘려 세계 5위 수출국으로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아울러 핵심 인재 확보를 위해 현장 중심 교육으로 11만명의 연구 인재를 양성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법과 제도 정비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바이오헬스 산업이 경쟁력을 지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정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발 맞춰 정부는 ‘(가칭)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를 구축하고, 마이데이터 제3자 전송요구권 도입, 가명처리된 바이오 빅데이터 활용 규정 명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을 추진한다. 또한 안전한 혁신의료기술의 근거창출 기간 동안에는 건강보험에서 별도 보상하는 ‘(가칭) 혁신계정’ 신설도 검토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국회를 향해 “민감한 개인정보를 가명정보화, 비식별화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계류된 디지털헬스케어법의 조속한 처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