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강남 아파트 매맷값과 단기 유동성의 상관계수는 0.5~0.6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기조 속에 풍부한 유동성이 주택시장에 유입된다는 것이다.
연간 단기유동성 증감률은 2010~2011년 마이너스를 보였으나, 이후 2013~2016년간 장기 평균 증감률 이상의 증가세를 보였다. 단기 유동성은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MMF, 양도성예금증서, CMA, 발행어음, 환매조건부채권매도의 합산한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 월별 단기 유동성 증감률은 2015년 하반기에 20%대의 높은 수준을 나타낸 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올해 상반기는 8~10%로 2014년 하반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국토연구원은 “작년 6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25%로 인하된 이후 지속적으로 동결되면서 금리 상승에 대한 불안 심리가 완화됐다”면서 “마땅한 투자처가 부족한 상황에서 절대적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은 주택시장의 확장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올 들어 6월까지 주택 매맷값 상승률은 0.5%로 전년 동기(0.1%) 대비 오름폭이 커지면서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 지수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전국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5월 126.2에서 6월 127.5, 수도권은 5월 134.4에서 6월 136.0으로 각각 올랐다. 특히 서울은 145.8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6.19대책이 발표한 6월에도 1.4포인트 상승해 집값 상승 기대감이 여전했다.
박천규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장은 “단기적이고 국지적인 붐이 향후 주택시장의 변동성 증대 요인이 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미분양, 금리상승 등 주택시장 잠재적 위험에 대비한 선제적 관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