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위안화 추락, 환율전쟁 탓?…"中경기 둔화와 부양책 때문"

이정훈 기자I 2018.07.26 09:53:38

위안화 석달새 6.9%↓…中당국자 "환율전쟁 의도 없다"
WSJ "위안화 약세, 경기둔화·부양책에 따른 결과물" 분석
中정부도 위안화 추가 절하 원치 않을듯…"절하 제한적"

달러대비 위안화 환율 추이 (그래픽=WSJ)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중국 위안화 가치가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는 것이 중국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취하고 있는 정책이 아니며 둔화되고 있는 중국 경제 체력과 그에 따른 부양정책의 결과물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현재 달러대비 위안화 환율은 6.7784위안으로 1년간 최저 수준까지 내려와 있다. 특히 최근 석 달간 미 달러에 대한 위안화 가치는 6.9%나 하락했다. 이를 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위안화 가치가 바위처럼 굴러 떨어지고 있다”면서 “중국과 유럽연합(EU)이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미국을 겨냥해 위안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추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WSJ은 진단했다. 실제 WSJ과 인터뷰한 한 중국 정부 외환당국자는 “중국은 현재의 무역전쟁을 환율전쟁으로 까지 비화하고 싶은 의도가 전혀 없다”고 밝혔다. 또다른 당국자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폭탄에 맞서기 위해 위안화를 의도적으로 절하하는 일은 원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대신 최근 중국 경제가 겪고 있는 침체 불안으로 인해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부양정책을 내놓으면서 자연스럽게 위안화 평가절하가 생겨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내 민간소비가 위축되고 있고 기업들의 디폴트(채무 불이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고 건설과 각종 설비 투자도 줄어들면서 경기가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강해지고 있고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수출 감소로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보니 정부 정책이 디레버리징(부채 감축)에서 성장 부양으로 돌아선 결과라는 것.

최근 중국 인민은행도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를 통해 5020억위안(원화 약 83조6000억원)에 이르는 자금을 시중은행에 깜짝 지원하면서 기업 대출 확대를 노리고 있고 각 지방정부도 인프라 투자지출을 확대하고 있다. 이 중국 당국자도 “이같은 부양정책에 따른 결과물이 바로 위안화 하락”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국무부 산하 최대 씽크탱크이자 정부의 정책 자문기관인 중국사회과학원 소속 장 밍 선임 이코노미스트도 “이번 위안화 절하 사이클은 경제 펀더멘털에 의해 촉발됐다”고 평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환 트레이더나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위안화 절하를 유도해 글로벌 무역전쟁에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중국 수출기업들의 우회적으로 지원하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을 갖고 있다. 로빈 브룩스 국제금융협회(IIF)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중국 정부는 당초 미국과의 무역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위안화를 절상하는 카드를 썼지만 (관세 부과가 이미 시작된) 지금은 그 전략을 철회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중국 외환당국도 결국엔 추가로 위안화 가치를 더 떨어지도록 내버려 두진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지난 2015년 8월과 마찬가지로 위안화 가치가 가파르게 하락할 경우 대규모 자본 유출과 같은 시스템 불안이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들의 인수합병(M&A)과 같은 대규모 해외 직접투자를 제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의 대미국 직접투자가 지난해에 3분의1 수준으로 급감했다. 또 개인들이 해외 보험을 매입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해외로 자금을 유출하는 행위에 대한 조사도 강화하고 있다. 윌프레드 위 인베스텍자산운용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중국 위안화 환율은 정부 당국자의 손에 의해 완벽하게 조절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향후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어떤 식으로 전개되느냐가 위안화 가치에 영향을 주겠지만 이로 인한 추가 절하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올리비에 블랑샤르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 펠로우는 “위안화 가치가 이미 크게 떨어져서 향후 미국의 추가적인 관세 부과 조치에 따른 충격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