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의 방산혁신클러스터 공모에 대전시와 구미시 경합
현장 발표 평가 끝으로 내주경 최종 후보지 선정 발표 예정
대전 "대덕특구·관련기업 등 인프라 풍부 즉시 전력화 가능"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방산혁신클러스터 최종 후보지 발표를 앞두고, 그간 유치에 사활을 걸었던 대전시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방산혁신클러스터는 국방 중소·벤처 기업의 성장을 위해 방위사업청과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사업으로 추진된다.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지로 선정되면 앞으로 5년간 국비 245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해당 지역에 방위산업 관련 생태계가 조성되고, 중소·벤처 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방위산업 기업들이 모여들고, 관련 기술·인력을 집중 육성해 지역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20년 시범사업 유치에 성공한 경남 창원은 방산 연구기반 확충과 관련 소재·부품 등의 분야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8 무인이동체&시스템산업엑스포’ 육군 부스에 군사용 드론들이 전시돼 있다. (사진=이데일리DB) |
|
10일 방위사업청, 대전시, 경북 구미시 등에 따르면 방산혁신클러스터 공모 사업에 대전시와 경북 구미시가 지원, 최종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있다. 이 사업은 국방 5대 신산업(우주·로봇·AI·드론·반도체)과 지역의 전략산업을 연계, 지역별 특화된 방산 분야를 구축한다는 내용이다. 대전시와 구미시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지난 2일 한국국방연구원의 현장 발표 평가를 끝으로 최종 후보지 선정 만을 남겨 놓고 있다. 대전시는 현장 평가에 정부출연연구기관, 군(軍) 관계자들과 함께 참석하면서 공모 지정 당위성을 높였고, 현장 질의 등에 대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시는 ‘드론’ 분야를 중심으로 전략을 마련했으며, 이번 공모 유치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갖췄다며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군사용 드론은 보안·안보 등의 이유로 외국산을 사용할 수 없어 국내 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대전시는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첨단 연구개발(R&D) 능력과 함께 관련 기업 등 국내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활용해 즉시 전력화를 위한 군사용 드론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대전에는 전국 드론 선두기업의 40%가 밀집해 있고, R&D 개발을 위한 정부출연 연구기관들과 군 시설인 군수사와 교육사령부 등이 집적돼 있어 이들의 시너지를 통해 군 수요의 공급체계가 가장 잘 수행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난 수년간 정부 공모사업에서 뼈 아픈 탈락을 여러차례 경험한 대전은 이번 방산혁신클러스터 공모에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정부 공모사업이 수치화된 기준으로 평가하는 정량 평가가 아닌 정치적 고려가 가미된 정성 평가로 이뤄지다 보니 경북 구미시와의 경쟁에서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윤석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인 지난 4월 11일 경북 구미를 방문했다. 방문 당시 경북도와 구미시, 대구·경북지역 정치권과 경제계 인사들이 윤 대통령에게 방산혁신클러스터 선정을 청원하는 등 유치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은 산·학·연·관·군 등 모든 분야에서 드론 관련 네트워킹 연계가 가능하도록 갖춰져 있다”며 “대전이 방산혁신클러스터로 지정되면 윤석열 정부가 추진 중인 ‘국방혁신 4.0’을 빠르게 현실화 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전세종충남경제단체협의회도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 대전 유치를 위해 관계당국에 건의문을 지난 8일 전달했다. 협의회는 건의문을 통해 “대전은 한화, LIG넥스원, 풍산, 대한항공 등 방산 대기업 연구소가 밀접해 있고, ETRI와 KRISS 등 41개 정부출연연구원과 민간 연구원, 175개 연구소 기업이 집적된 국내 최고의 과학기술 선도도시로 방위산업 혁신 플랫폼으로서의 활용가치가 매우 우수하다”며 “충청권 경제단체와 지역민 모두 방산혁신클러스터 대전 유치를 염원한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