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장관은 31일 내신 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기자회견에서 향후 외교과제로서 “일본과의 소통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조기에 개최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 장관이 취임한 지 두 달이 돼 가지만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의 전화통화는 아직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의 전망에 대해 정 장관은 “언제 어떠한 형태로도 만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양자 회담이 되든 한·미·일 3국 외교장관 회담이 되든, 내가 가던지, 일본 외무상이 한국에 오던지, 제3국에서 만나던지 언제 어디서든 좋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정 장관은 이날 이상렬 아시아태평양국 국장이 일본으로 출국할 예정이라며 일본과의 고위 실무급 협의를 재개한다고도 밝혔다.
한·일간 핵심 현안인 징용·위안부 문제 배상 판결과 관련해서도 해결 의지를 보이며 일본 측의 화답을 촉구했다.
먼저 징용 문제와 관련해 정 장관은 “대법원 판결을 존중하면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겠다”며 “우리는 일본 측에 현실적 방안을 제시했고 일본이 적극적으로 응해주면 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이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2015년 위안부 합의에 따른 일본정부의 책임 있는 반성과 사죄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