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5개댐 수상태양광 조기착공…합천댐 주민들 20년간 최대 10% 고정수익

김경은 기자I 2021.03.18 12:00:00

3년간 147MW 규모 조기 착공
2030년까지 2.1GW 규모 수상태양광 확대
"중금속 등 유해물질 배출 없어"
환경부, 수상태양광 관련 환경오염 오해 적극해명
폐기물도 재활용…강력한 태풍에도 견디도록 설계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환경부가 친환경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2023년까지 합천댐 등 5개댐에서 수상태양광 사업을 조기착공한다고 밝혔다.

주민들의 반발을 우려해 주민참여형으로 사업이 추진되면서 인근 주민들이 대출투자자로 참여하게되면 20년간 투자금 대비 최대 연10%의 고정수익을 얻을 전망이다.

출처:환경부
◇3년간 147.7MW 규모 조기착공…주민참여형으로 민원 최소화 전략

환경부는 친환경 재생에너지인 수상태양광의 확산을 위해 올해부터 3년간 합천댐 등 5개 댐(합천, 군위, 충주, 소양강, 임하)에서 8개 사업 총 147.4MW 규모에 이르는 수상태양광사업의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상용화 모델 개발 이후 현재 3개댐(합천, 보령, 충주댐)에서 5.5MW로 운영 중인 댐내 수상태양광을 통해 2030년까지 2.1GW의 청정에너지를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이는 연간 2745GWh의 전력 생산이 가능한 규모로, 92만가구에 공급이 가능하다. 탄소저감량은 129만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우선 연내에 합천댐(40MW, 총사업비 835억원), 충주댐(2.4MW, 56억원), 군위댐(3MW, 73억5000만원) 등 3개 댐에서 총 45.4MW 규모의 수상태양광 사업을 조기에 준공하고, 2022년까지 소양강댐(8MW, 171억원) 사업, 2023년에는 임하댐(45MW, 941억원), 충주댐(20MW, 368억원), 소양강댐(9MW, 204억원), 합천댐(20MW, 380억원)에서 총 94MW 규모의 사업이 준공된다.

충주댐과 군위댐을 제외하고 이번 수상태양광사업은 댐 주변지역 주민의 수용성을 높이고 지역과 상생할 수 있는 ‘주민참여형’ 사업의 본보기로 추진된다.

주민참여형은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주도해 SPC(특수목적법인)를 설립하고, K-water와 발전사 등이 지분투자, 금융기관과 주민들이 대출투자자로 참여하는 사업모델이다.

올해 12월 준공예정인 835억원 규모의 합천댐 수상태양광 사업의 경우 지역주민이 투자에 참여해 향후 20년간 투자금 대비 4∼10%(투자금액에 따라)의 고정수익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K-water가 자기자본 51% 이상을 출자해 사업개발을 주도하면서 자기자본투자 리스크를 가장 많이지고, 공동출자사(발전사)가 20년간 매출 고정계약을 통해 매출변동성을 줄이는 구조다.

이밖에도 주민수용성을 위해 합천댐의 경우 합천군의 상징인 매화를 형상화한 시공을 추진한다. 환경부는 “앞으로 경관조명 등 설치를 통해 지역대표 축제와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환경안전성 최우선” 폐기물도 재활용…강력한 태풍에도 견디도록 설계

환경부는 이번 수상태양광 설치와 관련 △유해물질 배출 우려 △폐기물 처리 문제 △태풍으로 인한 시설파괴 우려 등에 대해 “환경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고 적극 해명했다.

우선 중금속 유출 등 환경오염 우려가 제기되는데 대해 “수상태양광 기자재에 적용하는 환경기준은 먹는물 수질기준보다 10배 이상 강화된 ‘수도용 자재 위생안전기준’에 적합한 제품만 사용토록 의무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에서 합천댐 수상태양광 시설에 대해 환경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2011년 최초 설치부터 현재까지 수질과 수생태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부연했다.

수상태양광은 태양빛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과 모듈을 띄우는 부유체, 바람 등 외력에 대응해 방향을 유지하는 계류장치, 생산된 전기를 보내는 전기설비(케이블, 인버터 등)로 구성되는데, 해당 기자재 모두 엄격한 환경 기준을 적용하고 있고 가장 최근 조사인 2019년까지 유해물질 배출은 없었다는 설명이다.

또 모든 폐기물은 재활용이 가능한 기자재를 쓰기 때문에 수상태양광 운영기한(20년 가량)이 끝나면 태양광 설치 이전의 환경으로 원상 복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도 태양광 폐모듈 상용화 기술개발 등을 위해 태양광재활용센터(충북 진천, 9월 준공)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운영중 유해물질 배출 우려에 대해서는 “물로만 세척해 화학물질 배출은 없으며, 태양광 인버터에서 소량의 전자파가 발생하나 국립전파연구원 조사에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보다 전자파가 훨씬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분석했다.

자연재해로 인한 시설물 파괴 가능성에 대해서는 “수상태양광 설비를 수상에 떠있게 해주는 부유체의 경우 최대순간풍속 52.5m/s에 견딜 수 있게 설계돼 태풍위험 등에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40m/s의 강력한 바람을 동반해 막대한 피해를 남겼던 2012년 볼라벤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다. 실제 과거 한반도 인근을 통과한 태풍(볼라벤, 산바, 차바, 링링 등)에도 한국수자원공사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은 설비피해가 없었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댐내 수상태양광은 철저한 검증을 통해 환경 훼손없이 안전하게 시공·관리되고 있다”며 “탄소중립 실현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도록 환경 안전성을 전제로 한 기술개발과 제도개선으로 지속적으로 수상태양광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