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5월 고용성적표 최악…김동연 "경제팀 무거운 책임감"

김형욱 기자I 2018.06.15 11:19:20

통계청 5월 고용동향 발표 직후 대책회의
통계청 5월 취업자 수 증가 7만명대 급락
김동연 "매우 충격적 결과…대책 서두를것"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고용 관련 긴급 경제현안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최훈길 기자 김정현 기자] 고용상황이 5월 들어 더 나빠졌다. 올 초 수치로 드러난 고용동향은 2008년 국제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흐름마저 보인다. 최악 고용성적표를 받아든 경제팀도 충격을 받았다며 서둘러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5월 취업자 수 증가 7만명대로 급락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5월 고용동향을 보면 5월 취업자 수는 2706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7만2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현 고용상황을 보여주는 가장 주요한 지표로 꼽힌다.

취업자 수 전년대비 증가가 10만명에 못 미친 건 2008년 국제 금융위기가 가시지 않은 2010년 1월(1만명 감소) 이후 처음이다. 특히 2~4월 3개월 연속 10만명대에 그치다가 5월 10만명 선이 무너진 건 금융위기 초기 모습과도 닮았다. 통상 취업자 수는 매년 1넌 젼보다 30만명대, 많게는 90만명까지 늘어 왔으나 2008년 9월 이후 3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후 4개월째 10만명 선이 무너졌고 5개월차부터 마이너스로 주저앉았다.

취업자 수 전년비 증감 추이. (수치=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출처=국가통계포털)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취업자 수 전년비 증감 추이. (수치=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출처=국가통계포털)


건설업을 중심으로 임시·일용직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게 결정적이었다. 임금근로자(2018만7000명) 중 상용근로자(1374만1000명)는 32만명 늘었으나 임시근로자(498만4000명)와 일용근로자(146만3000명)는 각각 11만3000명, 12만6000명 줄었다. 여기에 자영업에 종사하는 비임금근로자(687만6000명)도 1만명 줄었다.

빈현준 통계청 사회통계국 고용통계과장은 “5월 고용동향은 4월과 비슷한 상황이었으나 건설업을 중심으로 일용직 감소가 컸던 게 차이를 벌렸다”고 설명했다. 안 그래도 주택 준공물량이 축소하는 등 업황이 안 좋은 가운데 5월 호우가 이어지며 건설업 임시·일용직 근무 기회가 줄었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실업률도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통계상 실업률이란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 중 취업하지 못하는 비율을 뜻한다. 그만큼 고용 환경이 나쁘다는 뜻이다.

5월 실업률은 4.0%로 지난해 5월(3.6%)보다 0.4%p 올랐다. 2000년 5월(4.1%) 이후 18년 만에 최고치였다. 청년(15~29세) 실업률도 10.5%로 1.3%p 오르며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99년 6월 이후 5월 기준 최고치를 찍었다. 청년 체감 청년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도 23.2%도 1년 전보다 0.3%p 올랐다. 역시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15년 이후 5월 기준 가장 높다.

◇김동연 “매우 충격적 결과…대책 서두를것”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월 고용동향 발표 직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고용관련 긴급경제현안 간담회를 열고 관련 대책을 논의했다. 특히 “정부가 그간 일자리 창출 위해 많은 노력 기울였지만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며 자성했다.

김 부총리는 “경제팀 모두가 무거운 책임 느낀다“며 ”정부가 그간 일자리 창출 위한 마중물 역할 위해 나름 노력해왔지만 기업과 시장에 대한 펌핑(pumping)이 부족해서 일자리 창출이 미흡한 점도 없지 않아 있다”고 인정했다.

김 부총리는 아울러 “일자리 정책과 대책을 이야기하면서 기저효과, 계절적 요인 같은 기술적 얘기를 하는데 일반 국민이 보기에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그런 게 아니라 고용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정부가 인정하고 국민들이 우려하는 바에 대해 정부가 공감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시장과 국민이 느끼는 불안과 우려에 공감하면서 바탕 하에서 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업종·계층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 강화 △어려움 겪는 계층에 중점을 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추경 원활한 집행과 내수 활력 제고 노력 △시장과 기업에 대한 펌핑을 대책으로 꼽았다. 김 부총리는 “시장에서 일자리 창출이 될 수 있도록 혁신성장, 규제혁신, 재정·세제 지원, 노동시장 구조개선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2000~2018년 5월 실업률 추이. (수치=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출처=국가통계포털)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