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장마 용어 사라지나…"우기(雨期) 표현이 더 적절한 상황"

김경은 기자I 2022.10.20 14:37:06

기상청, 한국기상학회 특별분과 행사
장마철 이후 장맛비 더 많이 내려
국지적ㆍ단속적인 폭우 잦아져
학계, 아열대성 기후 강수 집중되는 ''우기''와 유사

장마기간이 끝난 지난 8월 8일 많은 비가 내려 우산 쓴 시민들이 서울 광화문광장을 지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공식 장마철 이후 형성된 정체전선으로 더 많은 비가 내리며 장마의 구간이 모호해지자 ‘장마’라는 표현을 바꿔야한다는 주장들이 나왔다.

기상청은 2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기후위기 시대, 장마 표현 적절한가?’라는 주제로 한국기상학회 특별분과 행사를 개최했다.

정용승 고려대기환경연구소장은 “장마철 강수 지속 기간이 크게 변하고 단속적인 소나기와 국지적 폭우가 잦아지고 있어, 오랫동안 사용해온 용어인 장마의 표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서경환 부산대학교 교수 역시 “장마철과 그 이후 강수 구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올 여름에는 장마철보다 장마철 이후에 더 많은 비가 내렸고, 지역별 차이가 뚜렷했다. 전체 강수량 중 장마철 강수량이 42.2%, 장마철 이후 강수량이 49.8% 차지했으며,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 지역 간 강수량 차이가 1973년 이후 상위 2위(458㎜) 기록했다.

기후변화로 급변하고 있는 여름철 강수 유형을 반영할 수 있는 장마의 새로운 정의 또는 신규 용어 도입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장은철 공주대학교 교수(장마특이기상연구센터장)는 “장마가 종료된 후에 소나기 및 국지성 강수가 집중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나는 만큼, 최근 여름철 강수 발생 과정과 특징들이 전통적인 장마의 특성과 부합하는지 추가 연구를 통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학계 일각에서는 아열대성 기후의 특징인 강수가 집중되는 구간을 의미하는 우기(雨期)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반면 시베리아 등 고위도 지역의 지면 상태 변화로 인한 대규모 대기 순환의 변화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기상청과 학계에서 사용하는 전문용어로서의 장마는 국민이 이해하는 일반용어와 간극이 있어 이를 대체할 용어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여름철 강수 특성이 변화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구분과 표현을 찾기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면서도 “장마는 온 국민이 수백 년 이상 사용해 온 친숙한 용어인 만큼 간단히 결정할 사항이 아닌만큼 학계와 산업계는 물론 국민의 의견을 종합하는 과정을 거치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