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멘델슨 교수는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범국가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구 온난화가 글로벌 차원의 문제인 만큼, 탄소가격을 ‘글로벌 전략 커뮤니케이션협의회’(GSCC)를 기준으로 모든 국가에 동일하게 적용해야 최적의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개별 국가가 탄소가격을 정할 때 여타 국가들의 탄소감축에 무임승차하려는 유인이 있어 적정가격보다 낮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는 결국 글로벌 차원의 적정 감축량 도달 실패를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멘델슨 교수는 지역과 무역거래상 연관성이 큰 국가들끼리 ‘지역적 블록’을 형성해 동일한 탄소가격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유럽은 ‘탄소조정국경제도’로 이미 이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고, 북미 지역도 이를 따를 것이란 게 그의 판단이다.
아울러 멘델슨 교수는 향후 전 세계 탄소배출의 60%를 차지할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지역적 블록’ 같은 제도를 도입하면 글로벌 온실감축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한국 기업과 금융기관의 기후변화 대응을 촉진하는 데 한은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타보니 교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녹색투자를 과감히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후경제 통합평가모형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경제적 편익이 투자 비용을 웃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해선 전 세계적으로 2030년까지 현재보다 3~6배 이상의 녹색투자가 필요하다고 추정했다.
타보니 교수는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는 대규모 친환경 투자 등 비용이 소요되지만, 기후변화 피해감소와 친환경 에너지 개발 경쟁에 따른 기술혁신 등 총 편익이 비용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나서지 않아 기후리스크가 심화될 경우 재정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후변화 대응에 나서지 않는다면 자연재해 및 경제적 충격 등으로 세수 감소와 정부지출 증가 등이 나오면서 재정이 악화될 것이란 관측이다. 따라서 그는 국가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 데 기후변화 대응이 필수적이라고 봤다.
다만 타보니 교수는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에너지 가격 상승, 소득 분배 악화 등으로 인플레이션, 총수요, 실업률 등에 부정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짚었다. 그는 이를 완화하기 위해선 거시재정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