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위기 아동의 조기 발견과 재학대 방지 사업을 강화한 ‘아동학대 예방 연간계획’을 수립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아동학대 제로(ZERO), 아동이 안전하고 행복한 도시 인천’ 실현을 목표로 △시민 인식 제고(예방) △위기 아동 사전 발굴 체계 강화(조기 발견) △공공 중심 아동학대 인프라 구축(대응) △가족기능 회복·재학대 예방(회복) 등 4개 중점 전략과제와 17개 주요 사업으로 마련했다. 인천시는 92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올해는 ‘아동학대 예방·대응 시스템과 재학대 예방 강화’를 중점 목표로 설정하고 예방부터 회복까지 전 분야에 걸쳐 촘촘하고 내실 있는 정책을 추진한다. 시는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시민 인식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교육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임산부·대학생·고등학생 등 예비 부모를 대상으로 한 ‘긍정 양육 코칭 교육’을 새롭게 진행한다. 또 재학대 방지를 위해 ‘사례관리 가정 대상 부모교육’을 신설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방교육을 추가로 시행하는 등 다양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아동이 안전하고 행복한 도시 조성을 위한 홍보 활동도 강화한다. 인천시는 인스타그램에서 카드뉴스, 뉴스레터를 통해 아동학대 예방 메시지를 상시적으로 전달하고 올해 처음으로 군·구, 시교육청 등 유관기관과 연계한 공동 홍보사업도 벌인다. 시는 사회보장 빅데이터를 활용해 위기아동을 조기에 발굴하고 복지욕구 점검, 서비스 연계를 통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며 지원할 계획이다. 만 3세 아동 학대 여부 전수조사와 고위험 아동에 대한 유관기관 합동점검을 통해 사후 재학대 예방에도 집중한다. 위험 징후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생필품 비용 지급, 양육 코칭, 부모교육 등을 사전에 지원하는 ‘아동학대 예방 조기지원 시범사업’도 강화군에서 시행한다.
앞서 시는 올 2월 행정체제 개편에 발맞춰 검암아동보호전문기관을 신설해 인천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을 5곳에서 6곳으로 확대하고 담당구역도 조정했다.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아동학대 예방, 재발 방지 사업을 수행하는 핵심 기관이다. 인천시는 전문기관 확충에 따라 방문형 가정회복사업 대상을 기존 120개 가정에서 150개 가정으로 늘리고 위기가정 지원사업은 180개 가정에서 240개 가정으로 확대한다.
시 관계자는 “아동안전에 대한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 발굴, 대응, 회복 등 전 분야에 걸쳐 지원체계를 대폭 강화한다”며 “지역사회가 함께 모든 아동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