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한상복기자] 이라크전쟁이 사막의 모래폭풍 속에 헤매고 있습니다. 개전 초기, "금방 승패가 갈릴 것"이라는 전망은 장기화 가능성 쪽으로 방향을 틀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증권부 한상복 기자는 "전쟁 이후를 지금부터 생각해 보자"고 합니다. 전쟁이 끝난 뒤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날 것이란 전망입니다. 전투가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지금으로서는 성급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람보가 돌아온답니다. 영화배우 실베스터 스탤론이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57세)에 각본과 주연을 맡아 "람보4"를 제작한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이번의 적은 오사마 빈 라덴이라고 합니다. 람보가 홀홀단신 적진에 뛰어들어 엄청난 수의 적들을 섬멸하고 빈 라덴을 처형한다는 줄거리라고 합니다.
어쩌면 부시와 럼즈펠드를 비롯한 미국의 전쟁 수뇌부는 "헐리우드 영화광"인 지도 모르겠습니다. 첨단무기로 중무장한 영웅 몇명으로 이라크전을 간단히 끝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 듯 합니다. 웃통을 벗어 근육질을 자랑하는 미국 영웅들이 기관총을 휘갈기면, 이라크 병사들이 추풍낙엽처럼 나가 떨어지는 모습을 연상했을까요.
그렇지만 성과는 그다지 만족스럽지 않아 보입니다. 연합군의 주력부대는 "말로만" 바그다드 진격을 앞두고 있고, "함락직전"이라는 바스라는 여전히 난공불락입니다. 이라크 TV에는 겁에 질린 눈망울의 미군 포로가 나옵니다. 근육질의 영웅들은 어디로 간 것일까요.
전쟁은 언제가 됐든 막을 내릴 것입니다. 이제부터는 전쟁 이후의 일들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전쟁이 끝난 다음, 어떤 일들이 일어나리라고 생각하시는 지요. 유가는 다시 내려가고 주가는 오르는 일만 남았다고요?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 주가가 오른다면 좋은 일이지요.
저는 전쟁 이후 미국 군수산업의 향방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아시겠지만, 대부분의 첨단기술은 군수산업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컴퓨터는 미사일 탄도 계산을 위해 만들어졌고, 카메라 기술도 전쟁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진일보했습니다. 거의 모든 전기전자, 신소재 기술은 군수산업에서 태동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인터넷도 그렇지요.
어찌보면 군수산업은 "첨단기술의 메카"로 보입니다. 군수용 기술에 대한 제한이 풀리면서 서서히 민수용으로 전환된 것이 오늘의 기술발전 아닌가 합니다.
군수분야에서 첨단기술을 배출한 토양은 "돈의 힘"일 것입니다. 미국의 지난해 군비예산은 3510억 달러였습니다. 올해는 4000억달러가 넘을 것입니다. 미국은 지난 1948년 이래 15조 달러를 군비에 사용했습니다. 이는 미국에 축적된 부 전체를 돈으로 환산한 것보다 많은 금액이랍니다. 모든 공장과 기계 도로 다리 상하수도 철도 발전소 빌딩 쇼핑센터 학교 병원 주택 등등을 합친 것보다 많은 돈이라지요.
미국의 군수산업은 날로 몸집을 불려가는데, 수요는 줄어드니 걱정일 것입니다. 그래서 레이건 시절의 스타워즈니, 지금의 미사일 방위계획이니 하는 초대형 프로젝트가 나오는 것이라고 봅니다. 억지 수요를 만드는 셈입니다. 이러다가 무기를 쓸 곳이 정말로 없어진다면 웃기는 일이 일어날 수도 있겠습니다. 느닷없이 외계인 침공 가능성을 언급하며 지구방위계획을 수립할지 누가 압니까. 헐리우드 영화광들의 상상력은 끝이 없거든요.
저는 이라크전이 끝나고 나면 "시기"가 서서히 다가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국 군산복합체들의 피나는 구조조정이 시작될 것입니다. 지난 90년대 초반, 다운사이징 열풍으로 군수산업체에서 해고된 사람들이 실리콘밸리에 모여들었던 것처럼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군수산업은 그동안 경쟁력과 효율성이라는 미국식 자본주의 틀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길을 걸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혼란지수가 정점에 달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미국식 자본주의가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군수산업도 마지막 불꽃을 태우고 있습니다. 결국 자승자박의 형국 속에서 치열한 다툼이 벌어질 것 같습니다.
이번 전쟁은 궁지에 몰린 미국 군산복합체의 패착으로 보입니다. 전쟁이 길어질수록 미국 국민들은 염증을 느끼고, 부시에 대한 지지율은 떨어질 것입니다. 미국 전쟁 수뇌부가 가장 두려워하는 대목입니다. 그래서 수시 브리핑을 통해 영화의 한 장면을 연출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헐리우드 영화의 재미는 한 순간일 뿐입니다.
미국 군수산업의 구조조정을 고대하는 것은 위기로 치닫고 있는 세계경제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서 입니다. 지난 50년간 투입된 15조달러의 자금으로 어떤 기상천외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을지 관심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