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가에선 미 경기가 양호한 모습을 보이는 것에 대해 △중립금리가 예상보다 높아 금리가 충분히 제약적이지 않을 가능성 △가계의 풍부한 현금 및 기업의 낮은 단기대출 비중으로 긴축 영향을 덜 받을 가능성 △본격적인 금리 상승이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돼 정책 시차 효과가 덜 반영됐을 가능성 등이 있다고 분석했다.
최 소장은 “이번 면담을 실시한 월가 전문가들은 대체로 연준의 통화긴축이 다양하고 긴 시차를 두고 실물경제에 파급될 수 있다는 의견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단 가계 현금 보유가 축소되고 부채 상환 능력이 저하되고 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 조사에 따르면 2분기 30일 이상 신용카드 연체율은 7.2%로 2012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았다. 기업이 차환 등 신규 자금 조달시 금융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연준의 은행대출조사에 따르면 대출 기준 강화와 함께 기업의 자금 수요도 저하되고 있다. 이는 경제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단기 금리 역전이 주는 경기침체 메시지의 유용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의견이 나오지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여전히 선행성을 무시할 수 없다는 의견이다. 미국에선 1960년대 이후 1966년을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장단기 금리 역전 후 5~23개월 내 경기침체가 발생했다.
연준 통화긴축으로 시중 유동성이 이미 뚜렷하게 줄어드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2020년 2분기~2021년 1분기 광의통화(M2) 증가율은 전년동기비 20% 이상 확대됐으나 올 1분기와 2분기에는 각각 전년동기비 2.5%, 3.9% 감소했다. M2 증가율은 적정 수준보다 각각 9.3%포인트, 10.7%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통화량 감소시 다수 사레에서 경기침체가 발생했고 시차를 두고 실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 소장은 “이번 면담을 통해 다수의 전문가들은 여전히 작년 이후 진행된 연준의 급격한 통화긴축 및 이에 따른 고금리가 종국에는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현재 금리 인상 파장이 크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조금 더 시간을 두고 실물경제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큰 폭 수준은 아니더라도 완만한 경기침체 가능성은 열어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