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 환자 대부분인 차사고…2명 중 1명 숨져

이지현 기자I 2023.03.30 12:00:56

질병청, 2015-2020년 중증외상 및 다수사상 통계 발간
중증외상 환자의 54.5% 사망, 생존자의 62.8%는 장애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최근 6년간 중증외상 주요 발생원인 운수사고로 나타났다. 치명률은 차츰 낮아지고 있지만 그래도 2명 중 1명은 목숨을 잃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30일 질병관리청이 공개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발생한 중증손상(중증외상, 비외상성 중증손상) 통계에 따르면 중증손상 환자는 총 4만8953명으로 집계됐다. 2015년 6250명이던 것이 2019년 9115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다 2020년(8435명)에 소폭으로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전세계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하자 외부활동이 줄며 사고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16~2020년 성별 중증외상 발생 추이
중증외상은 운수사고, 추락·미끄러짐 등으로 인한 외상 환자 중에서 의무기록조사를 통해 산출한 손상중증도점수가 16점 이상인 경우 또는 병원 전 심장정지 발생 또는 병원 전 사망(응급실 도착시 사망)에 해당하는 경우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73.4% 이상으로 여성(26.6%)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연령별로는 △50~60대 40.8% △70대 이상 23.8% △20~30대 17.8% △10대 이하 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증외상으로 사망하는 환자는 연평균 4000명 이상으로, 2020년 기준 중증외상 환자의 54.5%(치명률)가 숨졌다. 특히 2015년 치명률은 65.5%이던 것이 2019년 52.2%까지 낮아졌지만, 여전히 2명 중 1명은 숨지고 있다. 생존자 중에서도 62.8%는 장애가 발생했고, 25.4%의 환자는 중증장애가 발생했다.

2020년 기준으로 중증외상의 주요 원인은 △운수사고(53.5%) △추락·미끄러짐(38.9%) △둔상(4%) △관통상(2.2%) △기계(1.4%) 등이었다. 2017년 이후로 운수사고의 비율이 낮아지고, 추락 및 미끄러짐이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운수사고가 1위를 차지하고 했다.

발생 장소는 도로 및 도로 외 교통시설(51.6%)과 집·주거시설(20.1%)에서 주로 발생했다. 중증외상 발생 시에는 주로 두부(40.0%)와 흉부(36.0%)를 많이 다쳤다. 발생시간은 가장 활발한 활동시간인 정오~오후 6시(31.7%)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지영미 청장은 “중증외상은 사망률이 높고, 생존하더라도 장애를 비롯한 후유증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해 예방대책 마련이 중요하다”며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가 정부기관, 지자체 등의 손상 위험요인 개선 및 국민인식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 등에 다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