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조선단지, 시너지효과 높지만 ''산넘어 산''

노컷뉴스 기자I 2007.10.04 20:15:37
[노컷뉴스 제공]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4일 조선협력단지를 조성하기로 합의한 것은 수요를 따를 수 없을 정도로 호황인 국내 조선경기와 자본과 기술 유치를 바라는 북측의 요구가 맞아 떨어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 국내 조선업계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6개 업체가 수주잔량 기준으로 세계 조선업계 1∼6위를 차지할 정도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STX 등은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싼 중국에 공장을 짓는 등 지속적인 투자를 해왔으나 최근 인건비 상승과 기술 유출 우려 등 때문에 국내 조선업계는 북한을 일찌감치 주목해왔다.

여기에 덧붙여 북한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과 수심이 깊은 동해안과 부동항 등 남한과 비슷한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 외국과는 달리 언어 문제가 없는 상황 등이 강점으로 부각됐다.

이에 대해 북한 역시 지난 5월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 등 남한 경제인들이 방북했을 때 남포에 있는 영남 배수리 공장을 공개하고 시설·장비 제공과 기능인력 교육 등을 요청하는 등 조선업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따라서 남북한이 조선소를 함께 하게 되면 일반적인 시너지 효과는 분명히 있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적인 평가이다.

하지만 이같은 합의가 현실화 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북한에는 이렇다 할 설비가 없다"며 "먼저 공장부터 지어야 하고 그러려면 부지, 전력, 용수 확보 문제가 앞서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경공업과는 달리 많은 인력과 물자, 자본이 필요하고 업종의 특성상 외국인의 자유로운 왕래도 보장돼야 한다"며 "지금 당장 사업을 시작하더라도 실제 생산은 2∼3년 뒤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조선소를 함께 하려면 전략 물자 문제도 해결해야 하고 남북한 사이의 화물 운송도 자유로워야 한다"며 "합의가 어떻게 구현될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조선분야는 대북 전략물자통제협정에 묶여있기 때문에 현재 상황으로는 전략물자에 해당되지 않는 중급 이하 화물선의 블록공장의 건설이나 기존 설비 보수 등만 가능한 실정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