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품군별로 보면 서비스 거래액(65조5092억원)이 1년 전보다 10억2407억원(18.5%) 늘어 증가세를 견인했다. 특히 항공권과 철도, 숙박업체 등에 대한 소비인 여행 및 교통서비스 거래액이 24조912억원으로 7조3635억원(44%) 대폭 늘었다.
지난해 1월 1조8932억원으로 시작해 월별 전년 대비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던 여행 및 교통서비스 거래액은 엔데믹을 선언한 5월(2조1030억원) 2조원을 돌파했다. 본격 여름 휴가철을 맞이한 7월(2조1664억원)과 8월(2조2030억원)에는 연달아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고, 이후 9~12월에도 월별 2조원대를 유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총 거래액이 증가하면서 많은 상품군에서 거래액 역대 1위가 나왔지만 그중에서도 여행 및 교통서비스의 기여가 가장 크다”며 “여행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는데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는 엔데믹 전환에 있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기간 온라인 장보기와 비대면선물 문화가 정착하면서 음·식료품은 29조8690억원으로, 이쿠폰서비스는 9조8820억원으로 각각 3조2252억원(12.1%), 2조5561억원(34.9%) 늘었다. 반면 컴퓨터 및 주변기기 4238억원(4.6%) 감소한 8조7001억원이었다.
지난해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 대비 10조9260억원(7.0%) 증가해 167조8276억원로 집계됐다. 역시 지난해에 이어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작년 4분기(10~1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61조1961억원)과 모바일쇼핑 거래액(45조1671억원)도 과거 같은 기간을 통틀어 최대 규모였다. 1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0조3574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조4598억원(7.7%) 늘었고,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1조2443억원(8.9%) 증가한 15조2515억원이었다.
|
통계청 관계자는 “2022년까지만 해도 온라인 해외직구 구매액에서 미국의 비중이 가장 컸는데, 2023년에는 중국이 미국을 넘어 제일 큰 비중을 차지했다”며 “중국 온라인 직구 구매액은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에서 많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