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은 “2014년 4월 16일 이전과 이후를 다르게 만들기 위해 다짐하고 분투해왔지만, 생명 존중의 안전 사회를 향한 기대는 10·29 이태원 참사 앞에 무너졌다”며 “예견할 수 있었고 예방할 수 있었지만, 세월호참사 때와 마찬가지로 국민을 보호해야 할 국가의 부재를 목격했다”고 규탄했다.
이날 단체 관계자 20여명과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안전 사회 향해 손 맞잡고 끝까지 함께 반드시 진실’, ‘기억 약속의 달 4월’, ‘세월호 참사 9주기 기억 약속 책임’ 등 피켓을 들고 회견에 참여했다. 이태원참사 유가족들이 진상규명과 제대로 된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세월호참사 유족들은 9년째 ‘제대로된 진실 규명’을 요구 중이다.
김종기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성역 없는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안전 사회 만들기를 위해 행동하고 함께 싸워 왔지만, 당연히 이 책무를 가진 국가는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며 “이태원참사를 지켜보며 우리의 9년 노력이 허망하고 참담하게 느껴졌지만 기억하지 않고 행동하지 않으면 참사는 또 반복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경 4·16연대 대표도 “세월호참사와 너무 닮아 있는 이태원참사를 지켜보면서 진실 규명, 책임자 처벌, 안전사회 위한 우리 걸음 멈출 수 없었다”며 “세월호참사 이후로 정권이 두 번이나 바뀌었지만 책임자 처벌은커녕 침몰 원인도 밝혀지지 않았고, 이태원참사는 국가 무능을 넘어 사회적 참사를 대하는 정부의 태도를 그대로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 활동 결과에 따른 대통령과 국회의 후속 조치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통한 재난참사 피해자의 권리 보호 등을 촉구했다. 생명안전기본법은 안전사고 발생시 피해자가 참여하는 독립적 조사가 가능토록 하는 내용이다.
사참위는 3년 6개월간 세월호 침몰 관련 조사를 벌여 지난해 6월 결과를 발표하고, 정부의 공식 사과와 피해자 사찰 등에 대한 감사 실시, 해양 재난 수색 구조 체계 개선 등을 권고한 바 있다.
이들은 다음 달 8일 대통령실 앞에서 세월호참사 이후 국가폭력의 책임 인정 및 사과와 후속조치 이행을 촉구하는 시민대회를 개최하고, 같은 달 16일 오후 4시 16분 세월호 기억공간에서 세월호참사 9주기 시민기억식을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