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유전자는 세포 속에 침투한 바이러스를 인지하고, 면역 단백질인 사이토카인을 만들라는 신호를 준다. 그런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사이토카인을 너무 많이 만들게 만들어 몸에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염증이 생기고,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상준 교수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대식세포의 유전자를 없애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해 ZBP1 유전자를 찾았다. 이 유전자가 존재하는 대식세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사이토카인 폭풍으로 죽지만, 이 유전자를 없앤 대식세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죽지 않았다.
연구에 따르면, ZBP1 유전자는 세포 속에 침투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잘 인지한다. 위험신호를 잘 감지하나 지나치게 많이 사이토카인을 만들어낸다. 사이토카인이 많아지면서 염증성 세포사멸이 발생하고, 전신염증인 사이토카인 폭풍을 일으켜 환자 사망률을 높인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치료에 주로 쓰는 ‘인터페론 요법’이 코로나19 환자에게 잘 통하지 않는 이유도 확인했다. 인터페론이 ZBP1 유전자를 강력하게 발현시켜 염증성 세포 사멸과 사이토카인 폭풍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동물 실험에서도 ZBP1 유전자가 있는 상태에서 인터페론을 주입한 경우에만 동물이 죽었다.
이상준 교수는 “ZBP1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면 면역세포 활성화 균형을 맞춰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약물을 만들 수 있다”며 “우리 몸이 가진 면역체계를 조절해 면역 염증반응을 막는 방식이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는 미국 세인트 쥬드 아동 연구병원과 함께 이뤄졌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이뮤놀로지(Science Immun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