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제약은 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무기를 장착했다는 점에서 장밋빛 희망을 그리고 있다.
이에 반해 막대한 금액을 지출하며 미지의 영역에 뛰어들었다는 이유로 성공여부에 물음표를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
동아제약은 30일 메디포스트의 관절연골 재상 치료제 `카티스템`의 국내 판권을 넘겨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카티스템은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를 원료로 하는 제품으로, 무릎연골 손상 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임상3상시험을 진행중이다. 이르면 내년 시판허가가 가능하다.
업계에서는 이번 계약이 신제품이 절실한 동아제약과 영업력이 절실한 메디포스트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는 평가다.
동아제약의 경우 다른 제약사와 마찬가지로 대형 신제품에 목마른 상황이다. `스티렌`, `자이데나` 등 자체개발신약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했지만 성장을 이끌어갈 대형 품목의 등장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제네릭(복제약) 시장도 국내사간 과열경쟁에 포화상태에 이른지 오래다.
이런 상황에서 `꿈의 치료제`라고도 평가받는 줄기세포치료제는 충분히 매력적인 상품이라고 판단, 시판허가 전에 판권을 인수한 것이다. 그동안 대외활동을 자제하던 강신호 동아제약 회장까지 판권 계약식에 참석할 정도로 카티스템에 대한 큰 기대를 나타냈다.
메디포스트는 카티스템의 시판허가가 가시화되자 동아제약을 판매 파트너로 선택, 국내 판매망에 대한 고민을 단숨에 해결했다는 평가다. 동아제약의 영업력이 국내에 소재한 대부분의 의료기관을 거래처로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안착을 위해서는 동아제약이 최적임자라고 판단한 셈이다.
이에 반해 동아제약의 선택에 물음표를 던지는 시각도 있다. 투자비용대비 감수해야 할 위험요인이 적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메디포스트는 이번 계약 체결로 판권료와 단계별 목표 달성 기술료(마일스톤) 및 실적에 따른 경상 기술료를 동아제약으로부터 받기로 했다. 메디포스트 측은 기술료 등 구체적인 계약 금액은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지금까지 국내에서 맺어진 제약 판권 계약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메디포스트는 동아제약 이외에도 대형제약사 4~5곳과도 카티스템의 판권 계약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메디포스트는 판권료로 수십억원을 제안했으며 3상임상완료 및 시판허가에 따른 마일스톤도 각각 수십억원대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카티스템의 판매에 돌입하기도 전에 많게는 100억원에 육박하는 금액을 지출해야 한다는 점이 다른 업체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아직 상용화되지 않아 시장성을 장담할 수 없어 다른 업체들은 카티스템의 판권 인수를 주저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메디포스트로부터 공급받게 될 카티스템 1바이엘의 원가도 수백만원에 달해 마진폭이 크지 않다는 점도 카티스템 판권 인수를 부정적으로 판단한 요인이었다는 지적이다.
그럼에도 동아제약은 카티스템의 상품성을 높게 평가, 줄기세포치료제 시장에 과감하게 도전장을 내민 셈이다.
최종경 HMC 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2011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판되는 성체줄기세포 유래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에 대한 판매계약으로 인해 동아제약은 신약파이프라인을 더욱 확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인공무릎관절 시장이 연간 2000억원 규모에 달할 정도로 시장성이 높다"면서 "줄기세포치료제 도입으로 제품다양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관련기사 ◀
☞동아제약, 메디포스트와 줄기세포치료제 판권 계약
☞국내제약, 올해 신약 1개 배출..`믿을건 복제약뿐`
☞동아제약, 리베이트 과징금 불복소송 `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