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드아웃 연연 안 한다…이젠 작품 팔려나갈 때 더 허전"

오현주 기자I 2022.09.21 12:37:12

△노화랑서 개인전 연 작가 이수동
자작나무 그리는 '완판작가'로 이름
3년만의 개인전에 신작 30여점 걸고
'서울' 데뷔전 '노화랑 30주년' 겸해
연인 아닌 여인 홀로 '낯선' 작품 등
개막 사나흘만에 이미 20여점 팔려

작가 이수동이 서울 종로구 노화랑에 ‘이수동 전’에 건 자신의 작품 ‘안단테 안단테’(2020·112.1×162.2㎝) 옆에 섰다. 자작나무가 쭉쭉 뻗은 숲속에 피아노 치는 남자를 지켜보는 여자. 작가의 오랜 아이템인 자작나무가 거대한 배경을 이루고 그 속에 숨다시피 한 ‘한 쌍의 연인’이 펼치는 ‘극단의 행복’은 보는 이를 무장해제시키는 작가만의 무기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멀리 ‘영업사원’이 보인다. 간혹 지루한 ‘영업장’을 빠져나와 길가를 서성이기도 하는데, 지나다니는 행인과 부딪치는 시선을 굳이 피하지도 않는 게 하루이틀 쌓인 내공이 아니다. 그이가 서울 인사동에 ‘떴다’. 이 말은 그이의 개인전이 인사동에 열렸다는 뜻이고, 그이의 인사동 출근이 내내 이어질 거란 뜻이기도 하다.

작가 이수동(63). 그이와 그이의 작품이 한국 미술시장에 발휘한 공을 하나만 대보라면, ‘우아한 새털’을 꼽아야 한다. 으레 미술작품 앞이라면 따라붙기 마련인 긴장감·부담감을 훌훌 털어버리게 하는, 자발적 무장해제를 유도하는 일 말이다. 마땅히 설레고 즐기는 일이 먼저여야 할, 미술작품 역할을 120% 이상 살려 꺼내놨다고 할까.

노화랑 ‘이수동 전’ 전경. ‘사랑가’(2022·53.0×65.1㎝·왼쪽)와 ‘하(夏)사랑’(2020·65.1×90.9㎝)이 나란히 걸렸다. ‘자작나무’는 작가의 상징이자 기원이기도 하다. 30여점 전시작 중 자작나무를 들인 작품이 얼추 절반이다. 그 속에 한 쌍의 연인을 ‘손톱 만한’ 크기로 숨겨뒀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그렇다면 어떻게? 편안하고 친근하게. 사람이 살면서 꿈으로라도 한번 봤으면 하는 장면들을 따뜻한 ‘붓의 말’로 던지는데 복잡하고 근엄할 게 뭐가 있겠나. 자작나무 쭉쭉 뻗은 숲에 피아노 치는 남자를 지켜보는 여자가 있고(‘안단테 안단테’ 2020), 푸른 하늘에서 내려온 그네에 올라탄 여인이 구름보다 높게 떠 있다(‘스윙’ 2022). 거대한 꽃이 된 보름달이 둥실 뜬 해변가에 그대를 위한 식탁이 차려지고(‘꽃다방’ 2020), 짝꿍은 잠시 놓쳤지만 온갖 꽃들이 주렁주렁 매달린 가지에 꽃보다 당당한 한 여인이 서 있다(‘나는 꽃이랍니다’ 2021).

이수동의 ‘꽃다방’(2020·37.9×45.5㎝). 거대한 꽃이 된 보름달이 둥실 뜬 해변가에 그대를 위해 차린 식탁. 작품은 한 쌍의 연인을 주인공 삼아 세상을 향해 작가가 끊임없이 써내려간 연서다. 모든 작품의 귀퉁이에는 아기자기한 서체로 올린 작품명과 사인, 제작년도가 들어있다(사진=노화랑).


게다가 전시장을 들러보면 안다. “그림 판매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영업사원’을 빙자한 작가의 팬서비스가 어느 레벨에까지 도달해 있는지. 작품 설명은 물론 가격까지 알뜰히 안내한 그이를 두고 ‘작가인 줄 몰랐다’는 관람객이 태반이다. “전시가 끝난 뒤 그림을 사간 소장자에게 손글씨로 감사인사를 한다”는 그이는 “소장자가 그림을 샀다기보다 이수동을 알았다가 더 중요한 일이 아니냐”고 말하기도 했다. 이쯤 되면 절대다수가 든 ‘수줍은 혹은 귀찮은 아니면 도도한’ 작가군과는 다른 세상에 서 있지 않은가. 그럼에도 그이는 “걷고 있는 길이 다를 뿐”이라고 했더랬다.

이수동의 ‘별이 꽃이 되다’(2022·40.9×53.0㎝). 맑고 투명한 바탕에 올린 화려한 들러리 같은 꽃나무 아래서 한 쌍의 연인이 영화 ‘라라랜드’에서 봤을 법한 ‘댄싱’ 중이다(사진=노화랑).


◇30년지기와 조촐히 기념한 ‘노화랑 30주년 전’

서울 종로구 인사동 노화랑. 작가가 개인전 ‘이수동 전’을 연 곳이다. 예의 그 ‘꿈이어도 좋을’ 환상 같은 풍경, 그 속에 영원히 살고 있을 듯한 손톱만한 인물들이 돌아왔다. 신작 30여점을 건 전시는 개인전으론 3년 만이다. 물론 그 의미도 적잖지만 사실 그 윗선엔 30주년이란 범접할 수 없는 무게가 버티고 있다. ‘작가 이수동’이란 이름을 제대로 알린 출발점이 된, 1992년 ‘서울’의 노화랑 첫 전시 이후 30주년이란 의미 말이다.

이수동의 ‘파더’(Father·2021·31.8×40.9㎝). 흰 눈이 스키장처럼 내려앉은 ‘험한’ 세상에 아내와 딸을 위해 레드카펫을 깔아주는 아빠가 보인다. 이수동 작가는 “내가 못했던 것, 안 했던 것을 그림으로 한다”며 멋쩍게 웃었다(사진=노화랑).


대구의 무명작가를 서울의 미술시장으로 진출시킨 이가 노승진(74) 노화랑 대표였다. 전화 한 통 달랑 연결한 뒤 대구까지 찾아온 노 대표는 뽑아내듯 그림 몇 점을 가져갔다. 작가의 불안한 마음 따윈 개의치도 않았겠지만 작가로서도 딱히 대안이 없던 시절이다. 그런데 얼마 뒤 믿기지 않는 소식이 날아왔다. 그 작품들이 다 팔렸다는 거다. “난생처음 그림을 팔아 목돈을 쥐어봤다”고 했다. 980만원이었다.

‘30년지기와 30주년 전’은 거창한 의식없이 화랑 대표와 작가, 둘만의 추억전으로 기념하는 듯했다. “명예나 타이틀에 매달리지 않고 소신대로 열심히 살아온, 천상 예술가”라는 노 대표의 ‘축사’에 작가는 그저 빙그레 미소로 화답했다.

작가 이수동이 서울 종로구 노화랑 개인전에 건 자신의 작품 ‘그녀가 온다’(2020·112.1×162.2㎝) 옆에 섰다. 동글동글한 나무 형상 대신 삐죽한 침엽수림을 들였다. 그간 작가의 작업에선 자주 볼 수 없던 나무고 전경이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이수동의 ‘그녀가 온다’(2020·112.1×162.2㎝) 중 부분. 화면 정중앙에 홀로 선 여인이 보인다. 드넓은 배경에 딱 하나 들인 ‘사람’이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때론 장난처럼 때론 암시처럼 그 세월을 품어온 붓끝의 변화도 두 사람이 가장 정확하게 알았을 일이다. 뭐가 달라졌을까. “3년 전에 비해 밀도가 높아졌다는 평이 가장 반갑다. 술을 안 마시니 그리는 일에 좀더 집중할 수 있어서가 아닐까 한다.” 그 끝에 “술 끊고 첫 개인전”이란 ‘할 말 많은’ 여운이 깔렸다. 건강 이상을 알리는 신호 때문에 그렇게 좋아하던 술을 끊은 건 2년 전. 덕분에 그이는 지난 개인전에 비해 날씬해진 몸매를 과시했는데.

이수동의 ‘그녀의 바다’(2021·40.9×53.0㎝). 그이의 무기던 소담한 장식을 대폭 거둬낸 자리에 디테일을 심어낸 ‘그간 못 봤던’ 작품 중 하나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전시장을 가만히 둘러보니 말이다. 슬림해진 건 몸매만이 아니었던 거다. 그이의 무기던 소담한 장식을 대폭 거둬낸 자리에 디테일을 심어낸 ‘그간 못 봤던’ 전시작이 심심찮게 눈에 띈다. 특히 홀로 된 여인들이 단출한 배경을 타고 당당하게 선 ‘낯선’ 장면도 여럿이다. 앞에 본 ‘나는 꽃이랍니다’를 비롯해, ‘그녀의 바다’(2021), ‘러브레터’(2022), ‘봄이 오는 소리’(2020), ‘그녀가 온다’(2020), ‘초대’(2020) 등. 그중 차도르를 두른 듯 붉은 천 안에 얼굴을 반만 내놓은 여인의 초상(‘단심’ 2020)은 그이의 작업에선 희귀작에 속할 정도다.

그간 작가 작업의 주인공은 단연 ‘한 쌍의 연인’이었던 터. “작정했다기보단 배어나왔다는 게 맞을 거다. 오래전 스산한 마음이 들 땐 ‘혼자’를 많이 그렸다. 그러다가 40∼50대에는 ‘둘’을 그렸고, 60대가 되면서 다시 ‘혼자’가 늘어난 셈인데. 요즘 생각할 게 많아지면서 생긴 자연스러운 변화인 것 같다.”

이수동의 ‘나는 꽃이랍니다’(2021·40.9×31.8㎝)와 ‘단심’(丹心·2020·45.3×37.9㎝). 짝꿍 없이 홀로 선 여인이 단출한 배경을 타고 당당하게 선 ‘낯선’ 장면은 이번 전시작의 특징이기도 하다(사진=노화랑).


◇“주식으로 치면 삼성전자쯤 되는 위치”

어느샌가 그이의 이름 앞에는 ‘솔드아웃’ ‘완판작가’란 수식이 따라붙었다. 실제로 그랬다. 내다거는 족족 뽑혀 나갔으니까. ‘대기록’도 있다. 2006년 노화랑이 ‘한 집 한 그림 걸기’란 취지로 기획한 ‘작은 그림 큰 마음’ 전에 건 수십점이 개막 첫날 아침나절에 다 팔려버린 거다. 호당 25만원쯤 할 때였다. 4호(33.4×24.2㎝)짜리 50점을 1차로 완판한 뒤 “열흘 밤낮을 죽어라 그린” 추가 25점까지 깔끔하게 내보냈더랬다.

그런데 그 화려한 타이틀이 어느 때부턴 되레 마음고생을 만들기도 했을 거다. “솔드아웃이 좋았지만 이젠 절반 정도만 나갔으면 한다. 요즘은 작품이 팔려나가는 게 더 허전하다. 적당히 되돌아왔으면 하는 마음이다.”

작가 이수동이 서울 종로구 노화랑 개인전에 건 자신의 작품 ‘잘살아보세’(2022·40.9×53.0㎝) 옆에 섰다. 홍매 덕인지 화면 질감까지 동양화의 분위기를 풍긴다. 형체를 좀처럼 드러내지 않는 작가의 ‘꽃그림’ 중 유독 도드라진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사실 이래도 저래도 작가는 ‘힘든 직업’이란 토로 역시 그이가 했더랬다. “작업할 때 힘들고, 그림이 안 팔리면 더 힘들고, 전시가 끝나면 아주 힘들다”고. 그럼에도 하루 10시간씩 아직도 붓을 쥐고 있는 건, 작업할 때 작가가 가장 행복하다는 걸 척박한 무명생활을 견뎌내던 30여년 전 절절히 깨달아서다. 아니, 아예 작가의 DNA에, 작품의 물감에 녹여버렸던 거다. 그걸 기억하는 작가는 작가대로, 작품은 작품대로 최선을 다했던 거다.

전시를 개막해 사나흘 동안 30여점 중 20점이 팔려나갔단다. 어쩔 수 없이 작가의 바람이던 ‘절반만 팔렸으면’은 이미 불가능한 미션이 돼버렸다. 작품가는 호당 80만원선. “주식으로 치면 삼성전자쯤 되지 않을까 싶다. 고르고 꾸준하다. 10년 전보다는 확 올라 있지만, 요즘 잘나가는 테슬라에는 못 미치지 않는가.” 전시는 30일까지.

노화랑 ‘이수동’ 전 전경. 한 관람객이 작가의 작품 ‘꽃밭에서’(2022·40.9×53.0㎝·맨왼쪽)와 ‘집으로’(2022·40.9×53.0㎝·왼쪽에서 두번째) 앞에 오래 머물렀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