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동부 메인주에서 중부 텍사스주까지 이어지는 항구의 운영 중단이 현실화할 경우 1977년 이후 첫 해안 전역에 걸친 파업이 될 전망이다.
노사 양측의 협의는 현재 교착 상태에 빠져 있어 파업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컨테이너 화물과 자동차는 내달 초 파업과 동시에 운송 차질이 불가피하다. 에너지 공급과 도시 폐기물 등을 실어나르는 벌크선은 이번 파업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지만, 군수품과 크루즈 선박은 제한적으로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파업에 앞서 일부 컨테이너선 선사는 항만 작업 중단과 관련한 추가 요금을 부과할 계획을 내놨다. 세계 1·2위 컨테이너선사인 스위스 MSC와 덴마크 머스크는 이달 말부터 아시아에서 미국 동부·연안으로 향하는 화물에 ‘긴급 운항 할증료’를 부과한다고 예고했다. 세계 5위 컨테이너선사인 독일 하팍로이드도 노조가 파업에 나서게 되면 운임을 인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블룸버그는 익명을 요구한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행정부도 해상 운송업체들이 부과하는 운임과 할증료를 주시할 것”이라며 “반경쟁적인 가격 움직임을 보고 싶지 않다”며 운임 급등할 경우 개입을 시사했다.
대선을 불과 한 달 여 앞두고 파업 가능성이 커지면서 최근 양호한 고용과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에 찬물을 끼얹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영국 금융 컨설팅기업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파업이 벌어질 경우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매주 45억~75억달러 (약 5조8800억~9조8000억원) 규모 손실이 발생하며 미 경제에 타격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분석가들은 파업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최대 쇼핑 성수기가 낀 4분기를 앞두고 있는 만큼 소매업체와 제조업체, 기타 수입업체가 물류 지연으로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항과 롱비치항이 이미 최대 처리량에 가깝게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파업까지 겹치면 화물 적체를 해소하는 데만 한 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선 동부 해안 항만의 파업으로 서부 해안으로 물동량이 몰리면서 철도와 육상 운송으로 과부과가 걸려 연쇄적인 운임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계도 파업만은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미국의 주요 비즈니스 리더들을 대표하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은 “동부 해안과 걸프만 항구에서의 파업 가능성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항만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미국 경제가 매일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입으며 미국 전역의 기업은 물론 노동자와 소비자 모두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양측에 협상 마감 전까지 합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