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삼겹살 2만원, 김밥 8천원..서민은 뭘 먹어야 하나요?

전재욱 기자I 2023.02.22 13:53:52

삼겹살 도매가격 오르면서 식당 1인분이 2만원 육박
김밥 평균 가격 3천원 초과..8천원짜리 김밥도 등장
소득보다 물가가 더 빨리 오르는데, 굶을 수도 없고
코로나19 이후 한국 엥겔계수 상승폭, 주요국서 상위권

[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삼겹살에 소주, 김밥에 라면, 짜장면에 탕수육. 만만하게 먹어서 이른바 ‘서민 음식’으로 일컫던 것들이 더는 만만하게 볼 상대가 아니다. 가격 변천사를 따라가보면, 서민 음식은 소득 대비 올라도 너무 올랐다.

◆ 삼겹살 1인분 2만원 목전

22일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돼지고기 삼겹살 도매가격(100g당)은 2586원이다. 5년 전 같은 시점(1883원)보다 37%, 2020년 11월(2133원)보다 21%, 전년 동기(2504원)보다 3% 각각 가격이 상승했다.

지난 1월 서울 중구 명동의 식당 간판 모습.(사진=뉴스1)
단순히 계산해, 식당 삼겹살 1인분 가격이 5년 전 1만5000원 수준이었다면 지금은 2만550원으로 올라야 한다. 여기에는 그간 상승한 인건비와 에너지 비용 등은 빠진 가격이다. 실제로 지난달 서울 식당 삼겹살 평균 가격은 1인분에 1만9031원(한국소비자원 집계)으로 2만원을 목전에 두고 있다. 5년 전(1만6211원)이랑 비교하면 17% 올랐다.

집에서 먹는다고 부담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2022년 9~10월 가구당 돼지고기 구매량은 1.8kg으로 전년 동기(2.1kg)보다 줄어든 게 눈에 띈다. 집에서 돼지고기를 덜 먹은 배경은 다양할 테지만 가격 상승 압박을 제외하기 어려워 보인다.

삼겹살의 단짝 소주 가격도 오를 일밖에 남지 않았다. 소주 명가 하이트진로의 참이슬 출고가는 2019년 1081.2원에서 지난해 2월 1166.6원으로 7.9% 올랐는데, 올해 더 오른다. 소주의 원료인 주정 값이 작년에 10년 만에 7.8% 올랐고, 소주병 공급가격도 22.2% 오른 여파다.

제조 원가가 오르니 출고가가 오르고 소매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 이미 서울 강남 지역 식당에서는 소주 한 병당 6000~7000원에 판매되는데 앞으로 이게 더 오른다는 것이다. 삼겹살에 소주 한 병을 곁들이면 외식비로만 3만원 가까이 쓰는 시대가 멀지 않았다.

◆만원으로 라면에 김밥도 버거워

다른 서민 음식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김밥 평균 가격은 서울 기준으로 3100원이다. 작년 이맘때 2760원하던 김밥이 1년 새 12% 올랐다. 일반 김밥이 이렇다는 것이지, 고급화 전략으로 출시한 김밥은 한 줄에 8000원까지도 한다.

이러니 김밥에 라면 한 그릇을 먹으려면 1만원으로도 버거운 게 현실이다. 라면 값도 올라서 라면 3사의 라면 값은 올해 기준 개당 722~874원으로 작년 동기(674~800원)보다 비싸다.

지난달 서울 시내 한 백화점 김밥가게 가격표. 최고가 메뉴는 김밥 한 줄에 8000원이다.(사진=연합뉴스)
짜장면 한 그릇 가격은 이번 달 서울 기준으로 6569원이다. 작년에 서울 짜장면 한 그릇이 6200원이었다. 자장면과 함께 즐기는 탕수육 가격은 앞서 삼겹살 가격이 오른 것과 견줘보면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 탕수육의 원료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작년 12월 기준으로 1kg당 5000~5200원으로 평년(4006원)보다 1000원 넘게 올랐다. 아이러니하게도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올해가 작년보다 하락하리라는 게 농업관측센터 전망이다. ‘경기 침체에 따라 소비가 위축하면서 재고량이 증가해 가격은 전년대비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소득보다 빠르게 오른 밥값

식료품비와 외식비가 오르더라도 소득이 함께 오르면 부담이 덜할 텐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에 따르면, 한국의 엥겔 지수는 2021년 12.8%를 기록해 2019년(11.4%) 대비 1.4%포인트 올랐다.

엥겔 지수는 총지출에서 식료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일컫는다. 주요 5개국(영국·독일·일본·프랑스·미국)과 비교해 한국의 엥겔계수 상승폭이 가장 높았다. 가계 소득보다 물가가 더 가파르게 오른 상황에서 식료품 이외의 소비를 줄인 결과로 풀이된다. 식료품 지출은 필수적이라서 줄이고 줄여도 한계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민 음식 가격은 가파르게 오르니 가계의 밥값 지출 부담은 커지는 것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