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에도 여당에선 계파 갈등이 장기화했으며 양측의 불신과 대립이 헌정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과 여당 분당의 씨앗이 됐다는 게 정치권 해석이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직후 실시된 2008년 총선에선 친박계에 대한 ‘공천 학살’이 일어나 많은 친박 정치인이 탈당해 친박연대를 결성한 바 있다. 또 18대 국회 당시 172석을 가진 거대 여당이었음에도 친이와 친박계 간 갈등으로 ‘한지붕 두가족’이라는 오명을 피하지 못했다. 이후 2012년(19대)과 2016년(20대) 총선에선 친박계에 의한 친이계 공천 학살도 이뤄졌다.
박근혜 정권 당시 야당 주도 하 최순실 특검법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2016년 11월 220명 중 찬성 196명, 반대 10명, 기권 14명으로 가결됐다. 결과적으로 박 전 대통령 탄핵에 대다수 여당 의원들이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해석되며 당장 야권에서 윤 대통령 탄핵 정국을 조성하고 있어 여권 분열에 대한 우려가 적잖게 제기되고 있다.
|
정치 전문가들은 윤석열 정부에 대통령실과 여당의 수직적 당정 관계를 극복하고 현재 당 대표인 한 대표와의 소통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 대통령은 한 대표를 타도해야 할 대상으로 보지 말고 동업자로 봐야 할 필요가 있다”며 “그렇지 않으면 둘 다 공멸할 것이며 윤 대통령 손해가 더 클 것”이라고 경고했다.
불안정한 당정 관계가 지속하며 집권여당 대표의 수난사도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윤 정부 출범 이후 주호영·정진석·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거쳤으며,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이준석·김기현 지도부는 2년의 임기를 채우지 못했다. 집권 2년 간 총 5명의 수장이 바뀐 셈이다.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면 대통령 측근들의 내부 총질이 이어지며 지도부 교체를 거듭해 당내 결속을 다지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이는 민심으로 고스란히 드러났다. 국민의힘은 지난 5월 총선에서 대참패하며 총선 3연패를 기록했다. 내년 4월 재보궐선거와 2026년 지방선거에서도 대패하면 대선에서 정권 재창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수평적 당정 관계를 해치는 대통령실 인선 문제를 개선해야 될 것 같다”며 “더 이상 야당의 공격거리가 나오지 않도록 방어하기 위해서는 인사 개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앞서 한 대표가 대통령실 인적쇄신과 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를 요청했던 만큼 윤 대통령이 이날 오전 담화에서 이를 얼마나 수용할지도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