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저축은행 업계의 PF 사업장 정리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는 “제 값을 받겠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만기연장 등의 금융 지원으로 버티고 있다. 이에 반해 운용사는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진다고 해도 PF 시장에 반영되기까지 시차가 있어 가격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런 탓에 양측이 가격을 두고 줄다리기를 하는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는 작년 자체적으로 ‘PF 부실채권 정리펀드’를 1000억원 규모로 조성했지만 펀드 자금은 거의 그대로 있다. 지난달 15일 약 90억원 규모의 부실 PF 사업장 단 1곳을 매입한 데 그치고 있다.
부동산 PF는 제2금융권 부실의 뇌관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3분기 기준) 제2금융권 건설·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193조6000억원에 이른다. 2년 사이 24.9% 급증했다. 같은 시기 비은행권의 대출 연체율은 건설업 5.51%, 부동산업 3.99%에 달했다. 2022년 동기(1.77%, 1.55%) 대비 3배 수준으로 뛰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신용평가는 최근 보고서에서 “비은행 금융기관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은 사업 초기 단계에 있는 상업용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높다는 점”이라면서 “관련 대출이 이들의 부동산 PF 대출 중 약 30∼50%를 차지한다”라고 진단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갑자기 시장에 매물이 쏟아지면 지금보다도 못한 가격을 받을 수 있다”며 “부동산 PF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PF 사업장의 재구조화를 적극 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