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日수출 규제 1년…韓소부장경쟁력 반도체·디스플레이 소폭 상승

배진솔 기자I 2020.06.30 11:00:00

전경련 30일, ''일본 수출규제 1년, 소부장 경쟁력 변화'' 조사
반도체·디스플레이 포함된 전자부품 제조업 가장 많이 상승
日수출규제에 "실질적 어려움이 없었다"는 기업 45.6%

[이데일리 배진솔 기자] 일본으로부터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등을 수입하는 주요 기업들은 한국의 소부장 경쟁력이 소폭 상승했다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업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비금융 업종의 지난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일본과의 수입거래가 있는 한국 기업 149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일본 수출규제 1년, 소부장 경쟁력 변화’ 설문조사를 통해 30일 이같이 밝혔다.

조사 결과 지난해 7월 일본의 소부장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한국 소부장 경쟁력은 지난해 7월 89.6에서 올해 6월 91.6으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수출규제 및 한국에 대한 화이트국가 제외 조치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한국 소부장 경쟁력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일본의 90% 내외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의미다. 전경련은 아직은 소부장 국산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주요 업종별로 일본 대비 경쟁력 변화를 살펴보면, 반도체·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92.7에서 98.7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일본의 수출규제 3대 품목인 불화수소·포토레지스트·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한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가장 컸다는 설명이다.

이어 △1차 금속 제조업(88.1→92.5) △식료품 제조업 (91.9→96.3) △기타기계 및 장비 제조업 (97.0→101.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96.1→97.8)로 경쟁력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 수입에 실질적 어려움을 겪은 경험에 대한 조사결과, 실질적 어려움이 없었다(45.6%)는 응답이 어려움이 있었다(23.5%)는 응답보다 많았다.

실제 조사대상 기업의 68.5%는 수출규제 이후에도 소부장 수입선을 국내 또는 제 3국으로 대체하지 않고 종전과 같이 일본에서 수입을 계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31.5% 기업은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 국산화 등 공급선 변화를 도모했으며, 평균 3.35%를 일본 이외 공급선으로 대체했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 △한일 정부간 외교적 타협(66.4%)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11.4%) △미국의 한일간 중재(7.4%) 등을 꼽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 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1년 동안 우리 소부장 경쟁력이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다소 상승했으나, 단기간에 소부장 경쟁력을 일본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며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의 꾸준한 노력과 함께, 양국 정부도 수출규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일관계 개선방안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