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국제유가 상승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내외 변수에 더해 방역정책 완화로 소비심리까지 회복되면서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4.8%로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10월 이후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지난해 10월 3%대로 올라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월까지 5개월 동안 3%대를 유지하다가 3월 4%대를 넘어서고 지난달에는 4.8%까지 뛰었다. 앞서 정부는 하반기에는 물가가 안정을 찾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우크라 사태가 장기화하고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등 대외적 불안 요인이 여전한 상황이다.
KDI는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상반기 3.0%, 하반기 3.2%의 상승률을 기록해 연간 3.1%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
기대인플레이션 안정화를 위해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허진욱 KDI 전망총괄은 “최근 우리 경제 전반에서 높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물가안정에 대한 통화정책의 대응이 요구된다”면서 “당분간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되, 추후 경기와 물가 여건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빅스텝(50bp)’ 금리 인상을 그대로 따라가기보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앞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16일 기준금리 빅스텝 인상에 대해 “물가가 얼마나 올라갈지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하고 5월 금통위원회 상황과 이후 7,8월 경제 및 물가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허 총괄은 “국내 경제기초여건을 감안하면 주요국의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급격한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의 공격적 금리인상을 포함한 대내외 경제환경 변화가 국내 물가와 경기에 궁극적으로 미칠 영향을 감안해 통화정책을 수행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