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부는 우선 도시가스 공급망이 닿지 않는 농어촌 지역에 대한 LPG 배관망 구축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 현재 군 단위의 대규모 사업 혹은 마을 단위의 소규모 사업으로 추진해 오던 LPG 배관망 구축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거쳐 150~1000세대가 있는 읍·면 단위 중규모 사업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전 세계적 LNG 수급 대란 속 국내 LNG 수급 위기 발생 땐 LPG를 대체 연료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LNG는 통상 난방을 위한 도시가스나 화력발전 연료로, LPG는 산업 혹은 수송연료로 주로 쓰는데, 유사시 LPG와 LNG를 섞어 사용해 겨울철 난방·전력 대란 같은 최악의 상황은 피하겠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이와 함께 LPG 유통·가격 안정을 위해 LPG차의 충전·판매업 유통구조 합리화와 LPG 품질·정량검사 및 가격·수급 모니터링도 계속 추진키로 했다. 가격담합은 산업부 산하 공기업인 석유공사가, 유통 및 품질은 준정부기관인 한국석유관리원이 맡고 있다. LPG가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의 중간 가교 역할을 한다는 취지에서 LPG 충전소 인프라를 활용해 수소충전소를 만들거나 LPG 연료전지발전을 추진하는 계획도 추진한다.
한편 국책연구기관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이번 시책 수립 과정에서 국내 LPG 수요를 전망한 결과 2020년 1019만t이던 수요가 2026년엔 1111만t으로 9.0%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전기·수소차 증가에 따른 LPG차 감소로 수송용 비중은 2020년 26.1%에서 2026년 21.4%로 줄어들고, 도시가스 보급 확대에 따라 가정·상업용 비중 역시 14.9%에서 13.8%로 줄지만, 산업용 수요 비중은 59.0%에서 64.8%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석유화학 기업이 비용 안정성 및 친환경성 때문에 에틸렌 생산 과정에서 기존 원료인 납사(Naphtha) 대신 LPG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LPG 제품별로는 프로판 비중이 64.0%에서 67.7%로 늘어나는 반면 부탄 비중은 36.0%에서 32.3%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시책을 통해 도시가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농어촌 소외지역의 에너지 사용 환경을 개선하고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도 LNG와 함께 중간 가교 역할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