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탄소배출 제로도시 탈바꿈”…서울시 ‘그린뉴딜’ 정책 추진

김기덕 기자I 2020.07.08 11:08:41

‘서울판 그린뉴딜’로 경제 및 기후위기 동시 극복
건물·수송 등 5개 부문 그린뉴딜…2조6000억 투입
공공건물 그린리모델링, 건물온실가스총량제 도입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서울시가 오는 2022년까지 2조6000억원을 투입해 경제위기와 기후위기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도록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확 줄여 탄소배출 도시를 실현한다는게 목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8일 “사람, 자연, 미래가 공존하는 살기 좋은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도시숲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한하는 ‘서울판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한다”고 말했다.

이번 서울판 그린뉴딜의 전략은 △건물 △수송 △도시숲 △신재생에너지 △자원순환 5대 분야에 초점을 맞췄다. .

먼저 시는 온실가스 배출의 68.2%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 부문’은 모든 건물을 에너지 효율이 높은 그린 건물로 바꾸는 체질 개선에 나선다. 그린 건물은 공공건물부터 선도적으로 시작하고 민간건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경로당, 어린이집, 보건소 같이 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노후 공공건물부터 에너지효율을 제로에너지건물 수준으로 높이는 그린 리모델링을 시작한다. 오는 2022년까지 2400억 원을 투입해 241개소를 리모델링할 계획이다. 또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건물별 배출허용 총량을 설정·관리하는 건물온실가스 총량제를 도입한다. 올해 공공건물에 도입이 의무화된 ‘제로에너지건축(ZEB)’도 2023년부터 민간건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는 또 그린 모빌리티를 선도하기 위해 2050년까지 서울의 모든 차량을 친환경 전기·수소차로 바꿔나갈 방침이다. 오는 2035년부터는 배출가스가 ‘0’인 전기·수소차만 등록 가능하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고,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 내에서는 전기·수소차만 운행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 2050년부터는 서울 전역에 전기·수소차만 운행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정부와 국회에 요청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시내버스는 2021년 교체 차량부터 의무화해 2025년까지 전체 시내버스(7396대) 절반 이상인 4000대를 전기·수소차로 전환한다”며 “택시는 2030년 교체 차량부터 의무화 도입을 목표로 보조금 확대, 친환경 차량 차령 확대 등 지원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녹지 확보를 통해 온실가스 흡수하는 그린 숲 정책도 추진한다. 탄소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자체를 흡수하기 위해 숲과 공원 확충에 나선다.

이를 위해 시는 기후변화 대응 도시숲(약 85만㎡) 신규 조성을 포함해 2022년까지 ‘3천만 그루 나무 심기’를 완료하고, 몽골 등 동북아지역의 사막화 방지를 위해 올해 20ha에 2만여 그루를 추가로 심기로 했다.

또한 탈탄소 시대로 가시 위해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신재생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한다. 시는 지난 8년 간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10배 이상 확대(2011년 25.2MW→‘19년 385.2MW)한 데 이어, 2022년까지 2000억원을 투입해 추가 확충에 나선다.

아울러 시는 폐기물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이고 발생된 폐기물은 다시 자원화하는 ‘순환경제’를 실현해 2025년까지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제로화한다. 이를 위해 자원회수시설의 추가 설치 및 처리용량을 확대하고, 1자치구 1리앤업 사이클플라자를 설치한다.

시는 이 같은 그린뉴딜 정책을 구체화하기 위해 연말까지 시민 대토론회, 포럼, 자문회의 등 각계의 의견수렴을 거쳐 대책을 보다 구체화할 방침이다. 또 이번에 발표한 모든 정책들이 그린뉴딜이라는 큰 틀 아래서 유기적으로 실행되고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기후생태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역할을 부여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도시과밀·생태파괴·온실가스 증가로 이어지는 효율 중심의 양적성장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며 “포스트코로나 시대로 가는 문명 대전환의 기로에서 서울판 그린뉴딜 정책을 과감하게 추진해 탈탄소 경제·사회로의 대전환을 본격화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