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물가·임금 1년 시차두고 영향…"기대인플레 못잡으면 90년대 악몽 재현할 수도"

이윤화 기자I 2022.07.25 12:00:00

한은 BOK이슈노트 ‘우리나라의 물가·임금 관계 점검’
물가와 임금인상 간의 악순환 현상 2000년대도 유효
임금상승률이 1%p 오르면 개인서비스 물가 0.2%p↑
1990년대 비해선 덜하지만 앞으로 정책 대응이 중요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이 6%대로 높아진 가운데 임금과 물가 사이의 상호작용이 강화되면서 최악의 경우 1990년대 못지않은 높은 물가 상황이 고착화할 수 있단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미 1년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지난달 3.9%로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만큼 기준금리 인상 등 적극적인 통화정책으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제언이다.

서울 시내 재래시장의 상인들 모습. (사진=연합뉴스)


◇임금·물가 1년 시차 두고 높은 상관관계…개인서비스가 가장 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이 25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우리나라의 물가·임금 관계 점검’에 따르면물가와 임금 상승은 1년 정도 가량 시간 차이를 두고 상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도의 물가상승률이 바로 다음 해의 임금상승률과 높은 상관관계(0.62)를 보였고, 그 반대의 경우(0.5)도 비슷했다.

특히 임금 상승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인건비 비중이 높은 개인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민감하게 반영됐다. 임금 인상 이후 1년이 지난 뒤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 물가와의 상관계수는 0.75로 높게 나타났다.

한은의 추산 결과 임금상승률이 1%포인트 높아지면 개인서비스 물가는 4~6분기 이후 0.2%포인트 정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업제품 가격은 임금 충격에 대해 유의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제조업의 낮은 인건비 비중, 글로벌화에 따른 경쟁심화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김정성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차장은 “개인서비스의 임금과 물가간 상관관계가 더 높은 이유는 인건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임금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에 비해 개인서비스업의 임금과 물가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제조업은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이 10%대인 반면 음식숙박업, 교육서비스업, 여가서비스업 등 개인서비스업종의 인건비 비중은 20~30%대로 높기 때문이다.

한은의 자체 시산 결과 업종별 임금상승률이 관련 물가 품목 상승률의 시차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음식숙박업과 교육서비스업은 임금 인상이 거의 시차 없이 반영돼 해당 분기에 각각 0.41, 0.61로 나타났고, 여가서비스업은 5분기 이후 상관계수가 0.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제조업의 경우 임금 인상 이후 8분기가 지나도 0.19에 그치며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료=한은


◇인플레 심각할수록 상관관계 더 커져…“기대인플레 통제해야”

물가와 임금의 상관관계는 단기간 내에 큰 영향뿐만 아니라 장기균형 관계를 형성하고 있단 결과도 나타났다. 월평균 임금 대신 시간당 임금을 이용해 분석해 봐도 물가와 임금 간 장기균형 관계가 존재한다는 결과는 여전히 유효했다.

임금과 물가 상관관계를 과거 물가상승기와 비교해보면 더욱 뚜렷한 흐름을 보였다. 최근 20년에 비해 물가 및 임금상승률이 높았던 1990년대를 대상으로 분석해보면 임금의 물가 영향이 개인서비스물가뿐 아니라 전체 소비자물가에 대해서도 유의하게 추정됐다. 임금 인상 1년 뒤 물가와의 시차 상관관계는 1990~2021년까지가 0.81로 2000~2021년 0.51보다 높았다.

이는 물가와 임금간 상호작용이 저(低)인플레이션 국면에 비해 고(高)인플레이션 국면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물가가 오르면서 기대인플레이션도 높아진 가운데 임금 상승을 통해 실제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지면, 이는 다시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연결되면서 물가 상승의 악순환 고리가 고착화하는 것이다.

김정성 차장은 “이 같은 현상은 물가오름세가 높고 기대인플레이션도 상승하는 시기에는 기업들이 원가상승 요인을 가격에 전가하는 정도가 커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국제결제은행(BIS)이 15개 선진국을 대상으로 한 최근 실증연구에서도 임금과 물가 영향은 고인플레이션 국면에서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를 막기 위해서는 (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 대응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