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중국에선 비대면·무인 서비스가 일상화하고 관련 플랫폼 수요가 늘면서 디지털로의 전환이 급격하게 진행하고 있다.
|
정부와 기업 모두 디지털 경제의 뼈대라 할 수 있는 인프라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5세대 이동통신(5G)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인터넷 등을 ‘신형 사회간접자본(SOC)’으로 지정해 대규모로 투자하고 있다. 민간 기업은 인프라 등에 투자할 뿐 아니라 기업·스타트업과 협업해 디지털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업, 제조업, 농업 등 전 산업 생산 분야에서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있다. 도·소매, 요식·숙박, 물류, 교육, 문화 등 서비스 분야에서는 ICT 기술과 융합한 ‘신업태’(new business)가 나타나고 있다. 제조 분야도 산업인터넷을 활용한 스마트 공장을 포함해 로봇, 스마트그리드,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하는 등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소비도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중국 디지털 소비의 특징으로는 △온라인 소비 플랫폼의 다양화 △온-오프라인을 접목한 O2O 소비 확대 △디지털 소비 쿠폰 등이 꼽힌다.
권평오 코트라 사장은 “코로나19가 중국의 ‘디지털 경제 전환’을 앞당기고 있다”며 “급부상하는 중국 디지털 생태계를 이해하고 우리 기업이 한발 앞서 대응한다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