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 월 평균 소득 53만6000원…빚 3644.4만원

양희동 기자I 2022.04.07 12:00:00

2021년 전국 노숙인 8956명…2016년比 21%↓
남성 71.9%·수도권 48.4%…거리 노숙기간 122.8개월
노숙 주요 원인은 실직·사업실패 77.5%
거리 노숙인 80% 공공·일반근로 주 수입원
코로나19 이후 구직난과 의료서비스 못받아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우리나라 노숙인은 약 9000명으로 남성이 전체 70%, 65세 이상이 ‘3분의 1’ 가량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절반 가량이 서울·수도권에 거주하고 월 평균 소득은 53만 6000원, 평균 부채는 3650만원 가량으로 조사됐다. 노숙을 하게 된 원인은 실직이 40%를 넘었고 사업실패가 20% 가까워 전체 60% 정도가 경제적 문제였다.

거리 노숙인은 거리·광장 등을 10년 이상 떠나지 못하고 있었다. 이들은 약 80%가 공공·일반 근로를 통해 수입을 얻고, 건강상태는 좋다고 답했다. 또 무료급식이 가장 도움이 되는 지원으로 꼽았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구직난을 겪고 있고, 의료서비스와 사회복지시설 이용도 어려워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보건복지부)
◇2016년比 2021년 노숙자수 4년새 21.0%↓

보건복지부는 7일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소가 지난해 5~7월 실시했고 지난 2016년 이후 두번째다.

실태조사 주요결과에 따르면 전국 노숙인 수는 8956명으로 2016년 대비 2384명(-21.0%) 감소했다. 노숙인 수를 거처유형별로 구분하면 거리 노숙 및 노숙인 이용시설이용자가 1595명(전체 17.8%), 노숙인 생활시설 입소자 수는 총 7361명(82.2%)로 조사됐다.

노숙인의 성별 비중은 남성 71.9%(6439명), 여성 27.8%(2493명)를 차지했다. 여성 거리 노숙인의 수는 2016년 대비 18명 증가한 146명으로 거리 노숙인 중 여성 비율이 2.8% 포인트 증가(6.4%→9.2%)했다. 쪽방 주민을 포함한 노숙인 등에선 남성 76.6%(1만 1036명), 여성 23.2%(3344명) 미상 0.2%(24명) 등이었다.

노숙인 자활·재활·요양시설 입소자의 연령분포는 60대(36%), 50대(28.6%), 70대(13.9%), 40대(12.4%) 순으로 많았다.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은 32.7%이고 20~39세 청년 노숙인은 5.3%를 차지했다. 또 지역별로는 전체 노숙인의 48.4%(4331명), 거리 노숙인의 74.6%(1189명)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거리 노숙인의 경우 거리·광장(66.6%)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지하 공간(17.7%), 공원·녹지(10.0%), 건물 내부(4.3%) 순이었다. 거리·광장의 평균 거주기간은 122.8개월이었다.

노숙의 주된 원인은 실직(42.4%)이었고, 사업실패와 이혼 및 가족해체도 각각 17.5%, 8.9%로 나타났다.

가장 도움이 된 지원은 거리 노숙인의 경우 무료급식(62.0%)과 긴급복지생계급여(10.3%), 노숙인 이용시설 이용자는 자활사업 및 공공일자리 참여(26.2%)와 무료급식(21.9%)이라고 답했다. 노숙인 생활시설 입소자는 복지시설 이용(29.3%),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21.8%), 의료급여(15.2%) 등이었다. 쪽방 주민의 경우 생계급여(51.4%), 자활사업 및 공공근로(12.6%) 및 주거급여(10.9%) 등의 순이었다.

가장 필요한 지원은 전체 노숙인 등에서 소득보조(49.2%), 주거(17.9%) 및 의료지원(12.4%), 고용지원(6.8%) 등을 꼽았다.

(자료=보건복지부)
◇노숙인 39.6% “건강 좋다”…코로나로 구직난 겪어

전체 노숙인 등은 39.6%가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거나 매우 좋다고 답했다. 이는 2016년 29.6%보다 10.0%포인트 상승해 주관적 건강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숙인 등에게 많이 발견되는 질환은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 대사성 질환(37.6%), 정신질환(22.5%), 관절질환(15.1%), 치과 질환(11.8%) 순이었다. 치료 경험이 낮은 질환과 평균 치료 경험비율은 치과 질환(61.3%), 눈·코·목·귀 질환(78.4%), 관절질환(80.2%), 척추질환(81.4%) 순이었다.

노숙인 등의 음주 횟수는 월 1회 이상 26.4%, 월 2~4회 24.3%, 주 2~3회 29.6%, 주 4회 이상 19.7% 등이었다. 회당 1병 이상 2병 미만을 마신다고 답한 비율이 37.8%로 가장 많았다. 알코올 의존성 평가도구에 따른 문제성 음주 비율은 30.3%로 2016년(45.3%) 대비 15%포인트 감소했다.

노숙인 등은 주된 수입원이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등 공공부조나 기초연금이라고 답한 비율이 61.5%, 공공근로활동에 의한 소득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였다. 지난 1년간 월 평균 소득은 53만 6000원이었다. 가장 비중이 큰 지출은 식료품비 32.3%, 주거비 29.4%, 술·담배 14.1%, 생활용품비 9.9% 등의 순이었다. 또 전체 노숙인 등의 25.6%(2016년 35.5%)는 부채가 있다고 답했고, 평균 부채 규모는 3644만 4000원으로 2016년(6876만원) 대비 3232만원 감소했다.

노숙인 등은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 정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일자리 구하기가 2.0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또 의료서비스 이용과 사회복지시설 이용 등이 각각 1.6점, 1.3점으로 높았다.

곽숙영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관은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이 노숙인의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도 크다”며 “이번 실태조사가 노숙인 복지정책 수립·시행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기존 노숙인 복지사업을 점검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