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년 신임 정책위의장에 대해서는 “2017년 예산을 직접 다룬 예결위 간사로 새 정부의 성공적인 예산 집행과 정책의 가이드 역할을 기대한다”며 “청와대와 정부 내에 포진한 다양하고 풍부한 인적네트워크로 활발한 당정협의 및 당 정책역량 제고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민석 신임 민주연구원장에 대해서는 “민주당 통합 과정부터 문 대통령과 교감하고 중장기적 국정방향과 민주당 혁신플랜 구상의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추 대표는 사무부총장에 재선의 김민기 의원과 초선인 김영호, 임종성 의원을 임명했다. 홍익표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유임됐다. 당 대변인은 초선인 백혜련 의원과 김현 전 의원이 맡았다. 수석대변인은 추후 발표하기로 했다.
이번 인사는 계파별 안배가 눈에 띈다. 이춘석 사무총장과 김민기·임종성 사무부총장 등은 손학규계로 분류된다. 김태년 정책위의장과 김현 대변인 등은 친문계로, 김영호 사무부총장은 비노, 백혜련 대변인은 정세균계로 불린다. 이외에도 교육연수원장을 맡은 전혜숙 의원과 수석부원장을 맡은 김정우 의원, 김영진 신임전략기획위원장과 제윤경 홍보위원장 등 전체적으로 계파가 다양하게 섞여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추 대표는 “이번 당직 인사는 대통합·대탕평이라는 원칙과 능력주의 입각해 원내인사를 적재적소에 배치했다”며 “내각의 여성비율을 임기내에 50%까지 달성하겠다는 대통령 공약에 발맞춰 집권여당으로 첫 당직인사의 여성비율을 50%에 가깝게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당직개편을 두고 일부 잡음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대선에 승리했는데, 굳이 당직개편을 해 불협화음을 연출하고 갈등을 만들 이유가 없다며 일부 고위 당직자들이 반발했다. 하지만 문재인정부 출범에 맞춰 당을 일신해 정부를 뒷받침하고 당청 일체를 이뤄 경제위기와 안보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당직을 개편해야 한다는 여론이 더 많았다. 그동안 국회의원 총선거와 대선을 치르면 승패 여부와 관계없이 당직개편을 해왔다. 더욱이 이번에는 대선에서 승리해 10년만에 집권에 성공했다. 또 1년 후에는 문재인 정부 초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 의미를 갖는 지방선거가 예정돼 있다. 전면적인 당직개편을 통해 당청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내년 지방선거도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선거가 끝나면 사무총장을 필두로 대표에게 신임을 묻는 게 관례였다. 만약 선거에서 지면 당연히 당대표가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대선에서 승리했다고 해도 고위당직자들은 대표에게 일괄 사의를 표명해 신임을 물었어야 한다”며 “이번 당직개편을 보면 계파안배와 능력위주 인사 원칙이 두드러져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