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상산업포럼 사무국인 무역협회는 “경제블록화 등 급변하는 국제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한·ASEAN 추가 자유화 협상이나 중남미, CIS 등 신흥국과 FTA 시롭게 시작하는 등 통상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한·중 FTA에서 농어업 등 민감분야를 보호하는 동시에 외국의 지재권, 환경, 기술 규제 등 비관세장벽 철폐와 중소 수출기업의 FTA 활용 확대 등을 위해 정부가 노력해 줄 것을 건의했다.
포스코(005490)는 “중국의 설비증설로 철강공급은 과잉 상태”라며 “한국의 대중 철강 무역적자 확대 등을 고려해 한·중 FTA를 추진할 때 철강제품에 대한 중국측 관세 철폐와 합리적인 철강 원산지 기준을 채택해 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정밀화학산업진흥회는 “중국에 대해 꾸준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 중이지만 강제인증제도(CCC)로 수출과 판매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중국강제인증제도란 중국이 2003년 8월부터 시행한 품질안전관련 인증제도로 업체가 인증을 받지 못하면 출고·수입·판매나 경영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한·중 FTA 추진시 농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산물의 양허 제외를 요청했다.
통상산업포럼은 제조업·농수산업·서비스업 등 업계를 대표하는 협회장들이 참여해 구성한 민관 협의채널이다. 통상정책이나 교섭 추진과정에서 산업계의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새롭게 만들었다. 통상산업포럼은 이번 1차 회의를 시작으로 9월과 12월에 2, 3차 회의를 개최한다.
▶ 관련기사 ◀
☞"도약하는 중남미 시장을 주목하라"
☞국제원자재 가격, 하반기 '안정세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