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오는 11월 17일 치러질 2023학년도 수능 응시원서를 낸 졸업생(재수생) 비율이 2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교육부의 정시 확대 정책에 더해 문·이과 통합 수능에서 이과생이 유리해졌다는 기대심리가 작용했다. 통합 수능의 영향으로 작년 수능에서 불이익을 봤다고 생각하는 문과 역시 수능 재도전에 나선 학생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5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2023학년도 수능 응시원서 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에 지원한 수험생은 총 50만8030명으로 지난해(50만9821명) 대비 1791명 줄었다. 이 가운데 졸업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31.1%(15만7791명)로 전년(29.2%) 대비 1.9%포인트 늘었다. 전체 응시생 수는 줄었지만 졸업생 비율은 늘어난 것. 수능 응시 지원자 중 졸업생 비율이 31% 이상을 기록한 것은 1997학년도(33.9%) 이후 26년 만이다.
졸업생 비율이 늘어난 데에는 정시 확대 정책과 2022학년도부터 시행된 문·이과 통합 수능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수학의 경우 공통과목 성적에 따라 선택과목 응시그룹별로 점수를 보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문과생인 확률과통계 응시생들의 표준점수가 하향 조정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공부를 잘함에도 선택과목이 어려울 때 받을 불이익을 최소화하려는 장치이지만, 같은 만점을 받아도 확률과통계 응시생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게 돼 ‘문과생 불리’ 논란이 불거졌다.
이러한 이유로 이과·문과 졸업생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정시확대·통합수능으로 문과생은 지난해 피해의식에 따른 재도전, 이과생은 통합수능이 유리하다는 기대심리 등이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정시확대 정책 역시 재수생 증가에 영향을 줬다. 교육부는 2018년 발표한 ‘2022 대입개편안’을 통해 대학들의 수능전형 선발비율을 30% 이상으로 높이도록 했다. 특히 2019년 이른바 ‘조국 사태’로 학종에 대한 불공정 논란이 심화되자 학종·논술 비중이 큰 건국대·경희대·고려대 등 서울 소재 16개 대학에는 2023학년도까지 수능전형 비중을 40%까지 높이도록 권고했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대입에서 서울 소재 41개 대학의 정시 선발 비율은 39%에 달한다. 여기에 2022학년도 입시부터 전국 약학대학이 14년 만에 학부 선발을 재개한 점도 졸업생의 수능 재도전을 증가시켰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성호 대표는 “최근 의약학 진학을 위한 대학 재학생 대입 재도전, 군대에서 재수를 택하는 수험생 등이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