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보리 기자] 비만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의료비 상승, 생산성 하락 등 사회경제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아직 비만인구가 적지만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5일 `비만의 사회경제적 위협과 기회`보고서를 통해 한국은 비교적 비만도가 낮은 날씬한 국가군에 속하지만 과체중과 비만비율이 상승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특히 중년 남성의 비만인구가 늘어 40~60세 중년 남성은 과체중 이상 비율이 40%를 초과했고 여성들의 마른 비만도 증가하고 있다. 마른 비만이란 체질량지수는 정상이지만 체지방률이 정상범위를 넘는 경우를 말한다.
지난해 성민비만으로 인해 발생한 직간접적인 사회비용이 3조4000억원에 육박하는 등 비만의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처럼 비만인 사람은 정상인 사람보다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혈증 발생위험이 2배 이상 높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지난 2006년 기준 비만인 사람들은 정상체중인 사람들보다 의료비를 42% 더 지불하는 등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늘어나는 추세다.
또 비만은 근로자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쳐 기업의 추가적인 비용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보고서는 미국의 근로자 중 비만인 사람은 정상체중인 사람보다 매년 평균 2∼5일 더 결근하기 때문에 기업은 비만 근로자를 고용할 때 1인당 약 460∼2500달러의 비용을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비만에 대한 해법으로 맞춤형 적정체중관리와 예방관리 외에 통합장기적으로 비만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통합정기적 비만관리는 비만뿐만 아니라 신체 및 정신 건강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모든 부분을 통합적으로 연계한 장기적인 해결 방안으로 각종 정보기술을 활용한 시공간 제약 없는 건강관리와 비만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이승철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기업은 비만산업을 통해 신사업 기회를 만들고 비만관리를 통한 직원들의 복지 향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각국 정부 역시 비만을 개인의 보건문제가 아닌 국가가 풀어야 할 숙제로 보고 적극적으로 예방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