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 가운데 주된 활동으로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한 청년은 8만 2000명(34.2%)이었다. 장기 미취업 청년 3명 중 1명이 직업 훈련이나 취업 시험 준비, 구직 활동 등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그 밖에는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28.9%(6만 9000명) △‘육아·가사를 했다’ 14.8%(3만 5000명) △‘진학 준비를 했다’ 4.6%(1만 1000명) 순이었다.
집에서 그냥 쉰 청년 비중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0.5%에서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6.4%로 상승했고, 1년 이상∼2년 미만에서는 20.6%로 줄었다가 2년 이상∼3년 미만은 30.3%, 3년 이상일 때 34.2%로 상승했다. 3년이 지나도록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3년 이상 미취업 상태에서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은 2021년 9만 6000명에서 2022년 8만 4000명, 2023년 8만명으로 감소세였으나 올해 8만 2000명으로 늘며 증가 전환했다.2018년(5만 4000명), 2019년(6만 4000명)와 비교하면 코로나19 발발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상태다. 반면 청년 숫자는 구조적으로 줄고 있다. 5월 기준 청년층 인구는 817만 3000명으로 1년 전보다 24만 3000명 감소했다.
취업을 원하고 할 수 있지만, 임금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포기한 ‘청년 구직 단념자’도 증가하고 있다. 1∼5월 월평균 구직단념청년은 12만 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만 8525명)보다 1만 1651명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38만 7000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였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쉬었음’ 청년에 대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청년 경제활동 참여율을 높이는 사회이동성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등 취업애로를 겪는 청년들을 노동시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노동 시장의 이중 구조가 심화하고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늘지 않는 상황에서 취업 지원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손혜원 국회입법조사처 환경노동팀 입법조사원은 “청년도전 지원사업의 대상 및 인원 확대를 대책으로 내놓은 바 있으나, 코로나 위기로 더욱 열악한 상황으로 내몰릴 위험에 처한 취약 청년의 특성에 따라 단계적·구체적으로 지원을 달리하려는 움직임은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