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적자의 늪이 깊어져 비상경영체제 돌입한 일부 저축은행도 상생금융에 보조를 맞추고자 청년도약계좌 참여를 시도했던 반면, 인터넷은행들은 아예 초기 모집공고 신청조차 하지 않아 대조되는 모습이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323410)·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들은 정부정책상품인 청년도약계좌 운영을 하지 않고 있다.
청년이 5년간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도록 돕는 청년도약계좌가 전날 출시 하루만에 가입 신청자 수 7만7000명을 기록했다. 문재인 정부가 내놓은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을 할 수 없도록 한 점을 감안하면 수요가 상당하다. 향후 청년도약계좌가 사회 문화적으로도 긍정적 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오며 고무적 분위기다.
청년도약계좌는 신한·국민·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광주·전북·경남·대구은행 등 11개 취급기관에서 은행별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 가능하다. 하지만 비대면 기반으로 젊은 층 이용률이 높은 인터넷은행들은 빠져 의문을 자아냈다.
업계에서는 인터넷은행이 정부 정책상품을 취급하는 것이 실익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고 있다. 최고 연 6%의 고금리 정책상품인 만큼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고, 역마진 우려까지 발생할 수 있어서다. 사실상 수익성에 치중한 나머지 상생금융은 외면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인터넷은행의 입장은 조금 다르다. 인터넷은행은 청년도약계좌의 비대면 프로세스 구현이 어렵고 영업점이 없다는 한계를 들고 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이 복잡해 비대면 프로세스 구현 난이도가 높으며 특히 ‘특별 중도 해지 요건’은 비대면으로 구현하기는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또한 영업점이 없는 인터넷은행의 경우 단일 앱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청년도약계좌로 인해 지연 문제가 발생하면 전 금융서비스가 먹통이 될 수 있고, 이에 대한 대안도 없는 상황이다.
|
최근 적자전환으로 비상경영체제 돌입한 저축은행 업계에서도 청년도약계좌 참여를 시도했다. 페퍼저축은행은 지난 3월 서민금융진흥원에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 모집신청서를 냈으나 심의과정에서 최종 제외됐다. 제외 사유는 전산 인프라 구축 부문에서 일부 미비점이 드러난 것으로 알려졌다. 청년도약계좌의 비대면채널 구축 조건은 접속자수 30만건, 동시 접속자수 2만건 이상을 커버할 수 있는 전산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
외국계 은행인 SC제일은행도 참여를 확정지었지만 전산시스템 개발, 인력 문제 등 같은 이유로 출시 일정을 이르면 내년 1월로 잡았다.
반면 인터넷은행들은 청년도약계좌 모집공고 신청조차 하지 않았다. 청년도약계좌 모집 공고 간담회에서도 서민금융진흥원 측은 비대면 영업을 돕기 위해 제반사항, 정보 연계 부분 등을 협조하겠다며 참여를 유도했으나 이조차 고사했다. 당시 현장에 있던 은행 관계자들은 “MZ세대를 위한다면서 정작 필요한 것은 안하고 있다”며 인터넷은행의 불참 행보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는 후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물론 인터넷은행은 영업점이 없으므로 청년도약계좌 관련 절차가 어려운 것은 맞지만 출시 자체를 못한다는 것은 핑계로 보인다”면서 “비대면으로 처리하기 더 어려운 주담대 상품도 취급하며 대출도 하면서 수신상품 판매가 안 된다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영업점이 없다면 인터넷은행 특성상 부득이 제한되는 부분을 안내하고 영업하면 될 일”이라면서 “회사의 의지가 있다면 특별중도해지 전담 심사반을 구성해서라도 (취급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말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정부가 청년도약계좌를 정책상품으로서 꽤 중요하게 밀고 있는데 이를 외면하는 모습은 향후 정부의 신사업 인허가 등에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이와 관련 인터넷은행 3사 측은 “청년도약계좌 시스템 개발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오래 걸리고, 고객이 몰렸을 때 앱에 지장이 생길 가능성 등을 고려한 결정이지, 실익 때문에 참여를 못한 것은 결코 아니다”라면서 “추후 참여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