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ESF 2021]에릭 매스킨 "ESG는 기업과 정부 바꾸는 첫 번째 작은 발걸음"

권효중 기자I 2021.06.24 11:46:42

2007 노벨상 수상자 에릭 매스킨 美 하버드 경제학과 교수
"기후위기 맞춰 ESG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어"
"기업 활동 변화 유인하고, 정부 정책에도 탄력 가능"
"ESG 관심 높아질 때 곧 실질적인 변화로 연결"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기업의 행동을 궁극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결국 각 국 정부, 그리고 글로벌 협약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이끌어낼 수 있는 시작의 발걸음으로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역할을 해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4일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자본주의 대전환: ESG 노믹스’ 주제로 열린 제12회 이데일리 전략포럼(ESF)에서 ‘마이너스 아닌 플러스, ESG 경영과 게임 이론’이라는 주제로 두 번째 기조연설을 맡은 에릭 매스킨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같이 말했다. 매스킨 교수는 2007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의 대표 석학으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개인과 지역사회, 정부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ESG의 역할을 강조했다.

에릭 매스킨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가 24일 오전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2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에서 ‘마이너스 아닌 플러스, ESG경영과 게임이론’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영훈 기자)
매스킨 교수는 최근 기후변화와 환경 오염 등에 대한 위기의식이 ESG에 대한 관심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봤다. 그는 “ESG는 모든 이해 관계자들이 함께해 기업을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유도하는 운동”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한 의식이 자라고 있어 대중적 인지도와 더불어 그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ESG는 ‘기업의 책임은 곧 이윤 창출’으로 그쳤던 지난 20세기의 인식과는 확연히 다르다는 설명이다. 매스킨 교수는 “당시 경제학자인 밀턴 프리드먼은 기업의 책임은 주주를 위해 ‘수탁 의무’를 지고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만약 주주들이 자신의 이익 외에도 환경 오염 등에 관심이 있고, 이를 바꿀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설명해주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처럼 주주들의 움직임과 더불어 지역사회, 그리고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변화에 종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봤다. 매스킨 교수는 “주주들은 기업에 투자를 중지하는 ‘이탈’(Exit) 혹은 기업에 직접적인 요구를 하는 ‘항의(Voice)’ 전략을 선택할 수 있고, 주주 외에 지역사회 등도 기업들의 행동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주체”라며 “특히 정부는 탄소세, 글로벌 협약 등 가장 궁극적으로 기업들을 바꿀 수 있는 방안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ESG는 특히 세계 각국 정부들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매스킨 교수는 “탄소세 등 실질적인 정책은 세금과 관련이 있고, 글로벌 협약 역시 몇 개의 국가에만 그치면 그 효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정부는 부담을 느낄 수 있다”며 “만약 개인들이 ESG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명해 정부에게 전달한다면, 곧 ‘시민이 원하는 정책’으로서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ESG 관점에서 정부는 탄소세와 국제 협약뿐만이 아니라 탄소 배출권 거래 제도 등 실질적인 방안을 고민할 수 있고, 만약 이 과정에서 시민들이 ESG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표명한다면 시행에도 탄력이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ESG는 기업의 행동뿐만이 아니라 정부의 행동까지 이끌어낼 수 있는 요소로서 유효한 셈이다. 매스킨 교수는 “개인이 ESG에 대해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이것이 곧 ‘글로벌 협력’을 원한다는 증거가 된다”며 “큰 변화를 원한다면 여러 작은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ESG가 그러한 작은 발걸음으로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